![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김정관 두산에너빌리티 사장 [연합뉴스]](https://cdn.thepublic.kr/news/photo/202507/270509_271093_305.jpg)
[더퍼블릭=양원모 기자]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가 이재명 대통령의 대표 공약인 기후에너지부 신설에 사실상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김 후보자는 지난 17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기후에너지부 신설과 관련된 여야 의원들의 잇따른 질의에 일관되게 부정적 시각을 드러냈다.
이언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에너지 정책이 산자부 산하에 있는데 산업과 분리하는 것은 위험한 발상이 아닌가"라고 묻자, 김 후보자는 "에너지와 산업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 즉답했다. 그는 "AI 시대에는 전기 경쟁력이 산업 경쟁력이라는 점에서 어떤 식으로든 유기적 관계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신중론은 이종배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서도 확인됐다. 이 의원이 산업부의 조선·해양플랜트 기능을 해양수산부로 이관하고, 산업부 일부 기능을 기후에너지부에 편입하는 방안에 대해 묻자, 김 후보자는 "굉장히 신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선을 그었다.
김 후보자는 "조선 산업은 단순히 물류·해운만 연관된 것이 아니라 기계산업, 소부장, 디지털 등 다양한 산업이 얽힌 복합 산업"이라며 "이를 연계하는 부분은 결국 산업부에서 하는 게 맞는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김 후보자는 김성원 국민의힘 의원이 "산업부에서 에너지가 떨어져 나가는 것에 대해 장관 입장은 무엇이냐"고 물었을 때도, "조직 개편 이슈는 한참 추진되고 있다"고 답했다. 이에 김 의원이 "산업부에서 에너지가 떨어져 나가는 것에 대해 반대라고 이해해도 되겠지요"라고 확인하자, 김 후보자는"우려는 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다만 김 후보자는 기후 변화 대응의 필요성 자체는 인정했다. 그는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정책적 모멘텀은 필요한 것 같다"면서도 "국정기획위원회와 대통령실에서 결정할 사안"이라며 직접적인 반대보다는 우려의 성격임을 분명히 했다.
이날 김 후보자는 에너지 정책 비전으로 재생 에너지와 원전, 수소 등 모든 에너지원의 조화로운 믹스를 제시했다. 특히 윤석열 정부 시절 확정된 제11차 전력 수급기본계획을 변함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11차 전기본은 태양광·풍력·수소 등 재생 에너지 확대와 함께 신규 원전 2기와 소형모듈원자로(SMR) 건설 등을 담고 있다.
현재 검토되고 있는 기후에너지부 신설 방안은 산업부의 에너지 기능을 환경부에 통합하는 방안과 환경부의 기후 부분과 산업부의 에너지 부분을 통합해 별도 부처를 만드는 방안으로 알려졌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환경부의 기후 업무와 산업부의 에너지 업무를 통합한 '기후 위기 대응 컨트롤타워' 구축을 주요 공약으로 제시한 바 있다.
더퍼블릭 / 양원모 기자 ilchimwan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