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유수진 기자] 6·3 대선을 앞두고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와 무소속 한덕수 대선 예비후보 간의 단일화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5일자 <조선일보> 보도에 따르면, 국민의힘에서는 김문수 후보가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의 단일화를 공약으로 내세우며 당의 대선 후보로 선출됐고, 지난 2일 대선 출마를 선언한 한 전 총리 역시 김 후보를 조속히 만나고 싶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힘이 단일화 방식에 대한 내부 방침을 정한 뒤, 김 후보와 한 전 총리가 직접 만나 최종 결론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 당 안팎의 관심은 단일화의 방식보다는 성사 시점에 집중되고 있다. 당내 단일화 찬성 의원들은 선거 홍보물 제작 일정 등을 고려해 오는 7일 이전에 단일화를 마쳐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한 전 총리 측은 “단일화 관련 룰은 국민의힘에 일임하겠다”며 조속한 회동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는 후보 등록일을 넘기게 될 경우, 한 전 총리가 단일 후보로 선출되더라도 국민의힘 소속이 아닌 무소속 후보로 대선에 나서야 하기 때문이다.
반면 김 후보 측은 단일화에 대해 다소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김 후보 측 관계자는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단일화는 김 후보가 국민의힘 공식 후보로서의 법적, 정치적 지위를 포기하고 희생적으로 결단하는 것인데, 당 일각에서 7일이나 11일 같은 시한을 정해 압박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며 “김 후보가 주도권을 갖고 결정할 문제”라고 말했다.
김 후보 측 내부에서는 단일화를 서두를 필요는 있지만, 최소한의 검토 시간은 필요하다는 견해도 나온다. 특히 김 후보가 국민의힘 공식 후보로 활동을 시작하면, 지금까지 한 전 총리보다 낮았던 지지율이 상승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반영된 것이다.
김 후보와 한 전 총리가 단일화를 진행하게 된다면 후보 간 담판보다는 여론조사로 결정할 가능성이 크다. 여론조사, 토론회 개최 여부 등 단일화 방식과 관련해 한 전 총리는 4일 “전혀 개의치 않는다”고 말했다.
단일화 방식과 관련해서는, 김 후보와 한 전 총리 간의 직접 담판보다는 여론조사 방식을 통해 최종 후보를 결정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토론회 개최 여부 등을 포함한 단일화 절차에 대해, 한 전 총리는 지난 4일 “전혀 개의치 않는다”며 유연한 입장을 보였다.
국민의힘 안팎에서는 후보 등록일을 지나 단일화에 실패할 경우, 투표용지 인쇄가 시작되는 오는 25일을 ‘3차 단일화 시한’으로 보고 있다. 이 시점까지 단일화가 이뤄지지 않으면, 한 전 총리가 단일 후보로 나서더라도 무소속으로 완주해야 하며, 이 경우 단일화 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한편, 범보수 진영의 ‘빅 텐트’ 구성에 대해서도 양측은 이견을 보이고 있다. 김 후보 측은 이른바 ‘원샷 단일화’를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정치권 안팎에서는 범보수 단일화가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이준석 후보, 이낙연 전 총리 등 제3지대 인사들의 참여도 필요하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더퍼블릭 / 유수진 기자 sjn3022@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