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지난 4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되면서 조기 대선 판세가 이어지고 있다. 앞서 더불어민주당은 윤 전 대통령의 파면과 관련 “국민의힘이 대선에 나서고 싶다면 그간의 잘못을 참회하고 내란 세력과 확실한 결별부터 해야 한다”고 비판한 바 있다. 내란 동조당이라면 반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앞서 조승래 수석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에서 “윤석열 정부 내내 실정과 폭정을 방관한 국민의힘은 12·3 내란 이후에도 옹호하기에만 바빴다”며 “파면 후에도 반성은커녕 내란 수괴의 손을 잡고 대선에 뛰어들려 한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비판의 목소리는 국민의힘 내에서도 있었는데, 김상욱 의원은 7일 SBS 라디오에 출연해 “(국민의힘이) 계엄 사태와 관련해서 국민에게 행동으로 하는 사과는 바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탈당 조치”라고 말했다. 앞서 국민의힘은 윤 전 대통령 파면 후 김 의원에 대해 징계대상이라고 비판한 바 있는데, 본인은 당헌 및 당규에 위배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 조경태 의원은 7일 CBS 라디오에서 “(윤 전 대통령과) 절연하지 않으면 (대선은) 필패”라며 “우리가 이기기 위해서는 비상계엄이라는 위헌·위법 행위로 탄핵된 대통령과의 절연은 필연적”이라고 말했다.

반면에 윤상현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는 전직 대통령과의 자산과 부채를 같이 짊어지고 갈 수밖에 없다”며 윤 대통령과 선 긋기가 필요하다는 식의 당내 주장을 반박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기 대선 가도가 이어지는 가운데 국민의힘은 유승민 전 의원, 오세훈 서울 시장 등이 경선에 불참하면서 사실상 ‘중도층’ 공략이 어려워졌다는 평가도 나온다. 사실상 윤 전 대통령과 뗄레야 뗄 수 없는 상황이 됐다.
특히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국회의 탄핵소추에 찬성했던 ‘탄핵소추 찬성파’(한동훈·오세훈·안철수·유승민) 가운데 오 시장과 유 전 의원이 빠지면서 당 대선주자 가운데 보수 지지층의 목소리를 주로 대변해 온 ‘탄핵소추 반대파’의 비율이 월등히 높아진 상황이다.

특히 이런 상황에서 윤 전 대통령의 거침없는 발언도 부담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지난 11일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를 떠나 서초동 사저(주상 복합 아파트)로 거처를 옮겼다. 당시 서초동 사저에 도착한 윤 전 대통령은 환영과 위로의 뜻을 전하는 일부 주민과 지지자에게 “다 이기고 돌아온 거니까 걱정하지 마세요”, “어차피 뭐 5년 하나, 3년 하나”라고 말한 것으로 확인됐다.
부인 김건희 여사도 오열하던 여성을 끌어안으며 “나는 여기에 못 들어오는 줄 알았다”며 눈물짓는 모습도 포착됐다.

또 조선일보 따르면 지난 14일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내란 사건 형사재판 첫 공판에 출석해서는 약 90분간 12·3 비상계엄의 정당성을 주장했다. 헌법재판소가 지난 4일 탄핵 인용을 선고한 뒤로 윤 전 대통령은 일부 국민의힘 대선 주자를 관저에서 만나고, 이들이 밖에 윤 전 대통령 발언을 전하면서 “윤심(尹心)을 전파하고 있다”는 말도 나왔다.
이와 관련 당 관계자는 13일 연합뉴스에 “중도층 표심에 영향을 주는, 적절하지 않은 발언”이라며 “반성하는 이미지를 보여줘야 대선에서 이기지 않겠나”라고 우려했다.
더퍼블릭 / 김미희 기자 thepublic315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