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손세희 기자] 지난해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 주식 투자 선호가 지속되면서 국내 주식 거래량은 감소한 반면, 해외 주식 거래량은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 및 9개 주요 증권사(미래에셋·한투·삼성·키움·NH·KB·신한·토스·카카오페이증권)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이들 증권사의 국내 주식 거래량(개인 투자자의 매수·매도 총합)은 6352억 5400만 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7303억 7900만 주) 대비 약 13% 감소한 수치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동학개미’ 열풍이 불었던 2021년(1조 2283억 4200만 주)과 비교하면 무려 48.3%나 줄어들었다.
반면, 해외 주식 거래량은 큰 폭으로 증가했다. 2022년 593억 1000만 주였던 해외 주식 거래량은 2023년 1124억 3500만 주로 89.6% 증가했고, 작년에는 1564억 1900만 주로 전년 대비 39.1% 늘었다.
정부가 지난해부터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정책을 추진했음에도 국내 증시는 주요국 대비 부진한 성과를 기록함에 따라 투자자들이 국내 주식에서 등을 돌린 것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두산그룹의 구조 개편, 고려아연의 기습적인 유상증자 등 소액 주주들의 이익을 훼손하는 기업 지배구조 이슈도 국내 주식 시장 이탈을 부추긴 요인으로 지목된다.
실제로 지난해 코스피는 9.43%, 코스닥은 23.15% 하락했다. 같은 기간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26.58%, 나스닥 지수는 33.37% 상승했다. 일본 닛케이225 지수 역시 20.37% 상승했으며, 중국 상하이종합지수(14.26%)와 홍콩 항셍지수(17.82%)도 상승세를 기록했다.
해외 주식 거래 증가에 따라 증권사들의 해외주식 관련 수익도 크게 증가했다. 9개 증권사의 지난해 환전 수수료 수익은 2696억 5900만원으로, 전년(1294억 1600만원) 대비 약 2배 급증했다. 또한, 해외 주식 수탁 수수료 수익도 늘어나 지난해 1~3분기 동안 8109억원을 기록, 전년 연간 수익(6061억원) 대비 33.8%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국내 주식 수탁 수수료 수익은 1조 8175억원으로, 전년 연간 수익(2조 3853 원) 대비 76.2% 수준에 그쳤다.
김 의원은 “정부가 국내 증시 활성화를 위해 밸류업 정책을 내놨지만, 투자자들의 신뢰를 얻지 못하면서 오히려 해외 시장으로의 자금 이탈이 가속화되고 있다”며 “단순한 주가 부양책이 아닌 자본시장의 근본적인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기업 지배구조 개선 및 투자자 보호 강화 등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해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합하는 투자자 친화적인 시장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퍼블릭 / 손세희 기자 sonsh82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