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오후 열린 국회 본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재의 요구로 국회로 돌아온 '김건희 여사 특검법'과 '채상병 특검법', 지역화폐법 개정안 등 3개 법안이 부결됐다. [연합뉴스]](https://cdn.thepublic.kr/news/photo/202410/237034_235099_3521.jpg)
[더퍼블릭=김종연 기자] 국민의힘이 김건희 특검법 재표결에 '부결' 당론으로 법안을 폐기시켰다. 이런 가운데 김 여사가 직접 사과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여기에 제2부속실 설치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다만, 이런 해법이 친한계나 친이준석계에서 거론되고 있다.
4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국민의힘은 윤석열 대통령의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로 상정된 김건희 특검법을 당론으로 폐기시키겠다는 방침을 정했다.
하지만, 표결에서 부결이 104표 나오면서 4명의 여당 의원이 이탈한 것으로 보인다.
김재섭, 김용태 등 친이준석계로 분류된 의원들은 김 여사가 사과해야 된다는 입장을 냈다.
김재섭 의원은 이날 오전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야당이 추진하는 특검법의) 목적이 보수 진영 탄핵을 위한 수단인 게 명백하기 때문에 못 받겠지만, '언제까지 이럴 거야'라는 문제의식은 분명히 있다"면서 "제2부속실이든 특별감찰관이든, 사과든 수사든 이를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이어 "많은 의원, 윤 대통령에게 우호적인 입장을 지니신 분들조차도 저와 비슷한 생각을 하고 있다"며 "법안은 계속 부결된다고 하더라도 분명한 출구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탄핵의 문을 열지 않기 위해서라도 김 여사의 선제적인 조치들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용태 의원은 전날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 라디오에 출연해 "(여당의) 동의 없이 특검법이 가결된다면 윤석열 정권에 치명타"라면서 "김 여사 입장 표명과 관련해서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 최악의 수는 야당에 끌려가서 사과하고 입장을 표명하게 되는 모습"이라고 했다.
유승민 전 의원도 지난 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는다'던 대통령이 유독 여사에게만 충성하는 모습은 도저히 이해가 안 된다"면서 "김 여사의 명품백 수수, 주가조작, 공천개입, 국정 개입 등 온갖 의혹들은 김 여사의 사과 한마디로 끝날 문제가 아니다. 법대로 처리해야 한다"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한동훈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민주당의 특검법안은 민주당 마음대로 (수사 검사를) 골라서 전횡할 수 있는 내용이고, 이런 법이 통과되면 사법 시스템이 무너지기 때문에 반드시 막아야 한다"면서도 "(김 여사 문제와 관련) 국민 눈높이에 맞는 해법이 필요하다는 저와 당 내외 많은 생각이 있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사실상 김 여사의 사과를 요구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친윤계 윤상현 의원은 지난 1일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김 여사도 시기나 방법이나 여건이 될 때 당연히 사과할 거다. 국민들께 송구스러운 마음을 가지고 있다"며 "(김 여사를) 자꾸 악마화하는 프레임에 빠진 언론이나 민주당발 의혹 부풀리기가 너무 과도한 정치공세의 성격이 있다"라고 지적했다.
한 중진 의원은 뉴스통신사 '뉴시스'와의 인터뷰에서 "이재명이 당 대표를 맡고 있는 민주당이 누구 욕을 하느냐"면서 "이 대표부터 (자신의 사법리스크에 대해) 사과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더퍼블릭 / 김종연 기자 jynews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