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행따라 급증하는 프랜차이즈…섣부른 창업 주의해야

유행따라 급증하는 프랜차이즈…섣부른 창업 주의해야

  • 기자명 최태우 기자
  • 입력 2024.09.02 11:53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커피 프랜차이즈 (본문 내용과 무관)[사진제공=연합뉴스]
커피 프랜차이즈 (본문 내용과 무관)[사진제공=연합뉴스]

 

[더퍼블릭=최태우 기자] 최근 자영업자들이 급격하게 늘어나는 가운데,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공격적인 마케팅을 경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특히 은퇴 후 별다른 전문 기술을 보유하지 않은 채 자영업에 뛰어든 영세 창업주들을 대상으로 유인책을 펼치고 있는 만큼, 투자에 유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2일자 <조선일보>의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60세 이상 자영업자 수는 전년보다 7만4000명 증가한 207만3000명으로, 역대 최대 수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가 2006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많은 98만6487명으로 집계된 것과 대비된다.

올해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지난 7월 기준 전체 자영업자 수는 572만1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6만2000명 감소했다. 자영업자 감소세는 올해 2월부터 6개월째 지속 중인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6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같은 상황에 대해 관련 업계에서는 유행이 빨라지고 프랜차이즈 과잉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별다른 전문 기술이 없고, 사업 경험이 부족한 이들이 대부분 프랜차이즈에 의존한 창업에 나서지만 2~3년 단위로 바뀌는 유행에 따라 성패가 엇갈린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창업을 준비할 때 프랜차이즈 선택에 신중해야 한다. 유행 속도가 가속화되면서 신규 프랜차이즈 업체의 수도 급증했는데, 장기간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을지를 유심히 봐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공정거래위원회 가맹사업 정보 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 전체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80%에 달하는 외식업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2019년 4792개에서 지난해 9934개로 4년 사이 2배 이상 늘어났다.

문제는 프랜차이즈 업체의 수가 급증한 만큼, 공격적인 마케팅을 벌이는 곳도 늘어났다는 점이다. 특히 은퇴 후 자영업을 시작한 영세 창업주들을 노리는 이들의 수도 적지 않다.

업계에서 따르면, 특정 프랜차이즈 가맹본부는 창업주 모집을 위해 오픈 직후 내부 직원을 동원해 가맹 점포를 수십 개 확장하는 전략을 활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망 있는 업체로 보이게 한 뒤, 실제 점주들이 가게를 오픈하면 가맹비만 받고 사후 관리 없이 수익을 내는 경우도 존재한다.

또한, 가맹점주를 유인해 프랜차이즈 본부에 소개하며 중개 수수료만 취하는 부동산 컨설팅 업체나 창업 컨설팅 업체도 있다고 한다.

온라인에서 과장된 정보로 예비 점주들을 유인하는 프랜차이즈 가맹점 모집 전문 사이트도 다수 존재한다. 네이버 포털 상단에 노출된 프랜차이즈 점주 모집 홈페이지 등에는 높은 월 매출과 순수익, 적은 창업비용 등의 문구를 통해 예비 창업자들을 끌어들이고 있다.

이와 함께 매출 일부를 가맹본부에 지급해야 하는 로열티나, 가맹비 등을 선착순으로 면제해준다며 점주들을 유인하는 곳도 있었다.

하지만 이들이 내세우는 매출과 순수익 등은 현실과 다른 경우가 많았다. 한 창업 컨설팅 홈페이지에 게재된 호프집 프랜차이즈의 경우, 예상 연매출이 10억8000만원이지만, 실제 공정위에 보고된 전국 평균 연매출은 4억2100만원에 불과했다.

이 밖에도 컨설팅 비용을 통해 수백만원에 달하는 비용을 요구한 뒤 환불을 해주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프랜차이즈 창업을 고려하는 예비 자영업자들 입장에선 선택에 혼란을 느낄 수밖에 없다. 가맹점이 많은 프랜차이즈를 선택하자니 유행이 언제까지 이어질 지 확신하지 못하고, 가맹점이 적은 프랜차이즈는 실적에 대한 신뢰성이 다소 떨어지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공정위의 가맹 사업 정보 공개 시스템을 확인하고,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지방자치단체가 제공하는 상권 분석 서비스를 참고하면 선택에 도움이 된다고 말한다.

가맹 사업 정보 공개 시스템에는 프랜차이즈 본사의 재정 상태와 가맹점 수는 물론 순이익과 광고비, 연평균 매출, 신규 개점 점포 수 등이 나와 있으며, 지자체의 상권 분석 서비스의 경우 각 자치구의 프랜차이즈 점포 수와 월평균 매출을 업종별로 나눠 확인할 수 있다.

더퍼블릭 / 최태우 기자 therapy4869@thepublic.kr

저작권자 © 더퍼블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응원하기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