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최얼 기자] 윤석열 대통령과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의 만남이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면서 의사들 사이에서도 강경 발언이 끊이지 않고 있다.
7일 의료계에 따르면 정진행 서울대 의대 교수(서울의대 비상대책위원회 자문위원·분당서울대병원 교수)는 전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교수님들, 우리 단합해서 같이 우리 학생, 전공의 지켜냅시다"라며 "전의교협, 비대위 형식에 얽매이지 말고 교수들 조직만이라도 전공의 7대 요구 중심으로 단일한 목소리 (내고) 뭉쳐야 합니다"라고 적었다.
이번 사태에서 목소리를 내는 의대 교수 단체는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과 전국 의대교수 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 등 두 곳인데, 한목소리로 전공의들의 7가지 요구사항을 정부에 전달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전공의들의 7대 요구안은 ▲ 의대 증원 계획 및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전면 백지화 ▲ 과학적 의사 수급 추계 기구 설치 ▲ 수련병원의 전문의 인력 채용 확대 ▲ 불가항력적 의료사고에 대한 법적 부담 완화 ▲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 전공의 대상 부당한 명령 전면 철회 ▲ 업무개시명령 전면 폐지 등이다.
윤 대통령과 박 위원장의 만남과 관련, 정 교수는 "우리 집 아들이 일진에게 엄청 맞고 왔는데 피투성이 만신창이 아들만 협상장에 내보낼 순 없지요"라며 "에미애비가 나서서 일진 부모 만나서 담판 지어야죠"라고 하기도 했다.
앞서 지난 4일 박 위원장은 윤 대통령과 만남 직후 개인 SNS에 “대한민국 의료의 미래는 없습니다”는 짤막한 글을 올린 바 있다.
이후 공식적인 입장은 내지 않고 있지만 전공의와 윤 대통령의 만남이 의대 증원 규모 등 쟁점을 두고 서로의 입장 차이만 확인한 자리가 된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대한의사협회(의협)의 전 간부도 강경 발언을 했다.
노환규 전 의협 회장은 SNS에 “갈라치기를 해서 매우 죄송하다”면서도 “그런데 요즘 이과 국민이 나서서 부흥시킨 나라를 문과 지도자가 말아먹는다는 생각을 지우기 어렵다”며 정부를 비판했다.
더퍼블릭 / 최얼 기자 chldjf1212@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