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최얼 기자]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과거 재판에서 위증한 혐의로 기소된 고(故) 김병량 전 성남시장 수행비서 김진성씨와의 재판과정을 두고, 일각에서는 이 대표가 쓸데없는 요소를 가지고 재판에서 피고인과 공방전을 펼치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제기됐다.
이날 재판의 쟁정 중 하나로 이 대표와 위증자 김진성씨의 대화 녹취록속 말투가 부각되자, 말투를 놓고 재판에서 공방을 펼치는게 이해되지 않는다는 반응이다.
녹취록 속 ‘저기’=‘거시기’?... 이재명, 위증공범과 6시간 공방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3부(부장판사 김동현)는 18일 위증교사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이 대표의 3차 공판을 진행했다.
이날은 김씨에 대한 변호인 측 반대신문 등이 진행됐고 이 대표측은 2018년 12월 당시 이 대표-김 씨 통화 녹취록을 제시하며, 위증을 요구할 의도가 없었다는 입장을 냈다. 이 재판에서 특히 문제가 된 것은 김씨가 이 대표와의 통화에서 ‘뭐, 크게 저기한 기억도 안 납니다’라고 말한 부분이었다.
이 대표 측 변호인 측은 녹취록에 등장하는 이 대표-김씨의 통화 내용 가운데 김씨가 말한 "크게 저기한 기억 안 난다"고 말한 대목을 지적했다. 해당 발언이 이 대표와 김씨가 나쁜 관계가 아니었단 뜻으로 해석했다는 취지의 주장이다. 이 대표 역시 직접 발언을 통해 "당시 김병량 시장 캠프와 저는 극단적인 관계였지만 김진성 증인만은 매우 유연한 태도를 갖고 있어서 만나기도 했다"며 "'크게 저기한 기억이 없다'는 건 저와 충돌하거나 부딪힌 기억이 없다는 것"이라고 부연설명 했다.
하지만 김 씨측 입장은 달랐다. 김 씨는 재판부가 “(이 대표와의 관계가 아니라) 당시 (검사 사칭) 일에 대한 기억이 잘 안 난다는 취지냐”고 묻자, “그렇다”고 말했다. 김씨는 “‘저기’라는 표현은 보통 추임새로 쓰는 경우가 있다”면서 “약간 전라도식 표현이라고 해야 하나, 애매할 때 쓰는 말”이라고 부연했다.
이에 대해 이 대표는 “이게 사실은 ‘거시기’라는, 형용사 표현에 가깝다”면서 김씨의 설명이 잘못됐다고 반박했다. 변호인도 “’저기한’이라는 말은 사투리로, 무엇을 지칭하는 말 아니냐”며 “이 대표와 안 좋았던 기억이 나지 않는다는 것에 대응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 대표는 또 과거 김씨가 검사 사칭 사건 관련해서 했던 여러 발언들의 출처를 집요하게 추궁했다. 이 대표는 녹취록 등에 나온 김씨의 말들을 인용하면서 “이 말은 누구에게 들었느냐”, “다시 한번 얘기해 보라” “이것은 기억이냐, 창작이냐”라고 물었다. 이 대표에게 위증을 부탁받아 허위 증언을 했다는 김씨 주장의 신빙성을 낮추기 위한 의도로 비춰진다.
최병묵 “이걸 가지고 무슨 6시간 공방이냐...‘李 김진성 답변유도’가 의미있는지 의문”

이 같이 재판에서 김 씨 말투를 두고 공방이 펼쳐지자, 여권지지층에서는 이 대표가 재판을 질질끌기위해 논점을 흐리는게 아니냐는 취지의 비판의 목소리가 제기됐다.
최병묵 전 월간조선 편집장은 19일 자신의 유튜브 방송을 통해 이같은 취지의 입장을 밝혔다. 최 전 편집장은 “이걸 가지고 뭐 6시간 공방을 하고 앞으로 몇 번 더 재판을 그게 해야 할 이유가 있는 건라”라며 “좀 궁금한 대목이다. 저는 이 재판을 정말 길게 느리고 또 늘리려는 이재명 대표의 전략에 재판부가 오히려 그걸 말리고 있거나 아니면 방치하고 있는 것 같은 인상을 받는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그냥 문자 그대로 해석을 하고 김진성 씨가 위증을 했으니까 위증한 사람의 설명이 제일 중요하다”라며, 김 씨 증언에 힘을 실었다. 그러면서 “무슨 뜻이었냐가 제일 중요하다. 그걸 이재명 대표가 자꾸 엉뚱하게 질문해서 뭔가 자기 쪽으로 유리하게 유도하려는 그 자체가 무슨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다”며 “들어보시면 아는거 아니냐. 김진성 씨의 답변을 들어보면 명확하다”고 지적했다.
최 전 편집장은 다음 위증교사 재판이 4월22일날 잡힌것과 관련해서도 “이렇게 길게 잡을 이유가 있느냐”라며 “보통 재판 김동현 재판장 보니까 뭐 한 2~3주 정도에 한 번씩 재판을 잡던데, 이것도 결국 이재명 대표의 총선 출마 뭐 이런 거를 좀 봐주기 위한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이어 “법대로 총선과 무관하게 재판을 진행해도 이재명 대표는 충분히 인천 계양을에 당선될 수 있는 거 아니냐” 라며 “너무 정치권의 눈치를 보는 것 같다”고 힐난했다.
그러면서 최 전 편집장은 이 대표의 위증교사 재판이 진행되는 만큼, 1심 선고가 늦어질 수 밖에 없다는 점을 꼬집었다. 사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이 대표의 위증교사 재판의 경우, 빠른 판결이 가능할 것이란 예상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재판 진행이 계속 늦어졌고, 다음재판 역시 1달 이상 지체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참고로 박근혜 전 대통령의 경우, 똑같은 혐의로 주 4회 재판을 받았다. 이에 정치권 안팎에서는 AI판사를 도입해야만, 사람마다 다른 잣대가 적용되지 않을것이란 비판의 목소리가 제기되는 상황. 결국 이재명 대표 재판이 지연되는듯한 인상을 보여지는 것이 최 전 편집장 비판의 주요골자인 것이다.
더퍼블릭 / 최얼 기자 chldjf1212@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