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미희 기자]더불어민주당이 주도하는 야권의 비례위성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이 시민사회 몫 후보 선정을 놓고 진통이 이어지고 있다. 12일 비례 후보 내정자였던 전지예 전 서울과기대 총학생회장과 정영이 전 전남 구례군 죽정리 이장이 사퇴하기는 했지만 민주당과 시민사회 간 선거 연대에 균열이 생길 가능성까지 제기하고 있다.
당초 더불어민주연합에 참여하는 민주당(20명)과 진보당(3명), 새진보연합(3명), 시민사회단체 연합정치시민회의(4명)는 각각 비례대표 후보를 선정하되, 상징성이 큰 1번은 시민사회 몫으로 주기로 했다.
시민사회 몫 비례대표 후보들의 이력이 논란이 돼 민주당이 발탁 뒤집히면서 이에 대한 재고를 요구했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전 위원 외에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반대 시위를 주도한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전여농) 출신인 정영이 전국농민회총연맹 구례군농민회장에 대해서도 같은 이유로 비례대표 후보 선정에 반대의 뜻을 밝힌 바 있다.
이들이 일단 “본인으로 말미암아 연합 정치의 정신이 훼손된다는 입장”을 전하면서 사퇴하기는 했지만 민주당 입장에서는 난감할 것으로 분석된다.
야권연합 비례정당 추진단장을 맡았던 박홍근 의원은 11일 동아일보에 “당초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는 시민사회 몫 추천 취지와 달리 다들 진보단체 활동가여서 실망스러운 건 사실”이라고 했다.
이재명 대표 또한 11일 충남 천안 기자회견에서 “내부적으로 이 문제(시민사회 추천 비례후보)에 대해 심각하게 논의하고 있는 게 사실”이라며 “정치는 이상과 현실을 조화시켜야 하는 장이기 때문에 국민의 눈높이에 맞고 기대에 부합하는 합리적 인선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민주당에서는 처음부터 추천해달라고 요구했던 대로 비정규직 노동자, 플랫폼 노동자, 자영업자, 소상공인, 중소기업인, 여성 장애인 등을 다시 추천해달라는 취지다.
민주당은 재추천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더불어민주연합이 후보자를 서류심사 단계부터 직접 검증해 반려하는 방안도 고심 중이다.

이러한 가운데, 13일 중앙일보 보도에 따르면 민주당 지도부는 11일 밤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민주연합 후보 논란 대책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서는 “민주연합 공천관리위원회에서 책임을 갖고 이 문제를 정리해야 한다”, “진보당에 3석을 줬으면 됐지, 시민단체 몫까지 반미 성향 단체가 가져가면 안 된다”는 의견이 오갔다고 한다.
특히 중앙일보 보도에 따르면 시민단체 몫 후보 결정 과정은 처음부터 반미 단체들의 입김이 반영될 가능성이 높은 구조였다고 보도했다. 배점이 가장 큰 심사위원 평가(50%)는 1~6등까지 10점씩 차등을 두었지만, 100명 국민심사단 평가(30%)는 각 배점 간격이 6점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도록 한 문자투표(20%)는 5000표만 모으면 만점이 부여돼 변별력이 약했다는 것이다.
또 이 매체에 따르면 순위 결정권을 쥔 심사위원단이 대다수 진보 단체로 구성됐다고도 보도했다.
중앙일보는 민주당 관계자를 인용, “36명의 심사위원은 한국진보연대 10명, 전국비상시국회의 10명, 시민단체 10명, 민주당·진보당·새진보연합 각 2명씩 추천해 구성했다”고 전했다.
이 매체에 따르면 한국진보연대는 ‘광우병 시위’를 주도하고 천안함 폭침 재조사를 주장한 친북·반미 성향 단체다. 전국비상시국회의 몫은 조성우 겨레하나 이사장이 주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더퍼블릭 / 김미희 기자 thepublic315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