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여야 모두 공천 마무리 수순에 돌입한 가운데, 영입인재들의 행보도 엇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은 영입인재 10명 중 8명이 전략 공천을 받은 데 반해 국민의힘은 절반 이상이 지역구 공천을 받지 못하며 비례정당인 국민의미래에 출사표를 던지고 있다.
국민의힘 대신 국민의힘 비례정당인 국민의미래에서 공천을 받자는 것으로 풀이된다.
국민의미래는 지난 4일 비례대표 국회의원 후보 공모를 시작, 당초 마감일보다 이틀 미뤄진 오는 9일 접수를 마감한다. 당 관계자는 “28가지 서류를 준비하기 힘들다는 신청자들의 요청을 받아들여 접수 기간을 이틀 연장했다”고 밝혔다.
6일 현재 국민의미래 비례대표 후보 공모에는 국민의힘 인재영입위원회가 발굴한 ‘영입 인재’들 상당수가 지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국민의힘을 탈당한 뒤 국민의미래에 속속 입당하고 있다.
특히 외교·안보·국방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춘 인사들 다수가 비례대표에 지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건 전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탈북민 출신의 김금혁 전 국가보훈부 장관정책보좌관이 비례대표 도전을 공식화했다. ‘탈북 공학도’ 박충권 현대제철 책임연구원도 비례대표 공천을 신청했다. 박 연구원은 북한에서 핵·미사일 개발 인력을 양성하는 평양 국방종합대학을 졸업하고 2009년 탈북했으며, 당내에서 비례대표 상위 순번 배치 가능성이 거론된다.
아울러 유용원 조선일보 국방전문기자도 비례대표 출마를 위해 최근 회사에 사직서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국민의힘 영입인재인 구홍모 전 육군 참모차장, 강선영 전 육군항공작전사령관, 이상철 전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 북한 전문가 남성욱 고려대 통일융합연구원장 등도 비례대표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또한, 진종오 대한체육회 이사도 비례대표 공천 신청을 했으며 김장겸 전 MBC 사장, 방송계 영입 인재인 진양혜 전 아나운서도 각각 비례대표 공천을 신청했다.

반면 민주당의 경우 22대 총선에서 영입된 인재는 27명으로, 이 중 22명(82%)이 지역구에 단수 공천을 받거나 전략 경선 후보로 나서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공천 작업 초반부터 강조한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아야 한다”는 기조가 반영된 셈이다.
6일 이데일리 보도에 따르면 이들 영입인재들은 전략 우선 추천 지역 25곳 중 절반이 넘는 14곳에 공천을 받으며 현역 의원들을 밀어냈다. 류삼영 전 총경(서울 동작을)은 이수진 의원을, 이지은 전 총경(서울 마포갑)은 노웅래 의원을, 김남근 변호사(서울 성북을)는 기동민 의원을 제치고 공천됐다.
실제로 민주당은 현역 의원들을 대거 교체해오고 있다. 지난 2020년 공천에서는 친문(친문재인) 그룹과 86그룹(80년대 학번·60년대생)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당시 민주당 현역 의원 129명 중 93명이 공천을 받고 36명이 불출마를 선언했거나 공천에서 탈락해 현역 의원 교체율은 27.9%를 기록했다. 이는 4년 전 20대 총선 현역 의원 교체율 33.3%(108명 중 36명 불출마 및 공천 탈락)보다 5.4%포인트 줄어든 수치다.
민주당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6일 20개 지역구 경선 결과를 발표, 공천이 슬슬 막바지 단계에 이르고 있다. 이에 공천이 마무리되면 신인에게 길을 열어줘야 한다는 교체율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더퍼블릭 / 김미희 기자 thepublic315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