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미희 기자]더불어민주당이 이재명 대표의 지명직 최고위원 선출을 두고 다시 ‘갈등’을 빚고 있다.
이재명 대표는 27일 지명직 최고위원에 충청 출신 여성 친이재명(친명)계 박정현 전 대덕구청장과 호남 출신 비이재명(비명)계인 3선 이개호 의원(전남 담양·함평·영광·장성)을 임명했다.
민주당 입장에서는 ‘충청’ 출신 최고위원을 인선한 데다가 송갑석 전 최고위원의 후임으로 ‘호남’ 출신을 임명했다는 점에서 지역을 아울렀다는 평가가 나온다.
민주당은 이날 공지문을 통해 인선 결과를 전하면서 “지역 안배와 당내 통합을 위한 이 대표의 의중이 반영된 인사”라고 밝혔다.
특히 이 정책위의장에 대해서는 “당내 대표적인 정책통”이라며 “내년 총선 정책 공약을 만들 적임자”라고 평가했다.
이 정책위의장은 당내 대표적인 비명계인 이낙연 전 대표의 측근으로 분류된 바 있다. 지난 2014년 전남지사 선거에 나선 이낙연 전 대표의 지역구를 이어 맡아 19대 국회에 입성했고 지난 대선 경선에서도 이 전 대표를 도왔다는 점에서 나름의 ‘탕평인사’인 셈이다.
하지만 비명계 일각은 박 최고위원의 내년 총선 출마 예정지가 비명계인 박영순 의원의 지역구(대전 대덕)라는 점 등을 들어 ‘말뿐인 통합’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조정식 사무총장 ‘거취’ 두고 ‘갈등’‥공천 실무 총괄 ‘당직’이라는 점에서 ‘교체’ 주장
29일 세계일보 보도에 따르면 충청권 민심을 고려한 인선이라는 당 지도부의 설명에 “계파색이 옅은 충청권 현역인 강훈식 의원이나 조승래 의원도 있는데 굳이 또 친명계인가”라는 반론이 있다고 전했다.
이 대표의 이 같은 결정을 두고 비명계에서는 연이은 잡음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이 정책위위장 뿐만 아니라 친명계로 분류되는 박 최고위원이 비명계 박 의원의 지역구인 대전 대덕구에서 총선 출마를 준비해온 탓에 일부 비명계는 ‘찍어내기’ 의도가 깔린 것 아니냐며 의심하고 있다.
비명계인 송 의원 자리를 친명계가 채우면서 의결권이 있는 최고위 구성이 고민정 최고위원을 제외하면 친명 일색이라는 비판도 당내에서 나온다.
여기에 총선 공천과정에서 핵심적인 실무를 맡게 되는 조정식 사무총장의 경우 체포안 가결 사태 때 사의를 표명했지만, 유임 기류가 흘러나오는 데 대해서도 비명계의 반발 조짐도 있다.
사무총장은 당 살림살이뿐만 아니라 공천 실무를 총괄하는 핵심 당직이다. 비명계에서 현재 조 사무총장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총선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우려가 섞인 것으로도 풀이된다.
친명 사무총장이 총선 공천 과정에서 자리를 그대로 지킨다면 비명계로서는 ‘물갈이’ 가능성에 우려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인 것. 여기에 관례에 따라 곧 출범할 총선기획단장까지 조 사무총장이 맡게 될 것으로 보여 비명계의 걱정은 더욱 커지는 형국이다.
일각에선 당의 화합을 위해 계파색이 옅은 인사에게 총선기획단을 맡겨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나, 당 지도부는 이런 주장에 선을 긋고 있다.

이원욱 의원, “책임 없는 자리 나눠주고 ‘통합’‥지나가던 소도 웃을 일”
대표적인 비명계 의원인 이원욱 의원 또한 자신의 SNS에 “통합을 실천하고자 한다면 당장 조 사무총장을 비롯한 사무부총장들까지 사임시키라”고 했다.
이어 “말뿐인 통합”이라며 “책임없는 자리 한 개(정책위의장)를 선심 쓰듯 나눠주고 ‘통합’이라 하는 것은 지나가던 소도 웃을 일”이라고 비난했다.
한편 세계일보의 보도에 따르면 수도권의 한 의원은 “이 대표가 ‘체포동의안 가결파’에 대한 징계 논의를 모두 중단시켰으면 된 것 아닌가”라며 “그냥 이 대표가 사라지길 바라는 사람들이 계속해서 문제 제기를 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더퍼블릭 / 김미희 기자 thepublic315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