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홍찬영 기자] 지방 건설경기 침체 여파가 현실화하고 있다. 대전 지역 4위 건설사인 크로스건설이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중견·중소 건설사의 연쇄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
11일 법조계와 건설업계에 따르면 크로스건설은 지난달 대전지방법원에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으며, 법원은 10월 30일 회생절차 개시를 결정했다.
크로스건설은 올해 시공능력평가액 1112억 원으로 전국 도급순위 217위, 대전에서는 계룡건설·금성백조주택·파인건설에 이어 4위를 기록한 지역 대표 중견사다. 공공기관 청사, 공무원 아파트, 지방 복합시설 등 관급·민간공사를 병행하며 외형을 키워왔지만, 최근 건설 경기 악화로 자금난이 불거졌다.
실제 매출은 지난해 793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30% 줄었고, 영업이익은 19억 원 흑자에서 16억 원 적자로 전환됐다. 부채비율도 105%에서 166%로 치솟으며 재무건전성이 급격히 악화됐다.
업계는 이번 사태를 지방 건설시장 전반의 구조적 위기 신호로 본다. 관급공사 물량이 한정된 상황에서 민간 미분양이 누적되고, 신규 수주가 줄어드는 등 자금 경색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 6762가구에 달하며, 이 가운데 77%가 지방에 집중돼 있다.
올해 들어 ▲대저건설 ▲삼부토건 ▲안강건설 ▲대우조선해양건설 ▲삼정기업 ▲벽산엔지니어링 ▲영무토건 등 10여 개 건설사가 회생절차를 신청했다.
지방을 중심으로 ‘줄도산’ 흐름이 나타나면서 **“건설 골목상권이 무너지고 있다”**는 평가까지 나온다.
지방 한 중견건설사 관계자는 “지방 건설현장은 미분양, 수주 부진, 금융 부담이 겹친 ‘삼중고’ 상황”이라며 “관급공사도 한정돼 있어 지방 업체들이 버티기 힘든 구조”라고 말했다.
더퍼블릭 / 홍찬영 기자 chanyeong841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