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안은혜 기자]국내 증시 활황에 힘입어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안에서 국내에 투자하는 금융투자상품의 비중도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ISA에서 운용되는 주식·상장지수펀드(ETF)·펀드 등 금융투자상품의 비중은 지난해 말보다 늘었고, 반대로 예·적금 비중은 줄었다.
지난달 말 기준 금융투자상품의 비중은 66.4%(30조 원)로 지난해 말의 59.0%(19조7000억 원)보다 커졌다.
반면 예·적금 비중은 같은 기간 41.0%(13조7000억 원)에서 33.6%(15조2000억 원)로 금액은 늘었지만 비중은 축소됐다.
특히 금융투자상품 내에서도 해외 대비 국내에 투자하는 금융상품의 비중이 늘었다.
지난해 말 ISA 내 금융투자상품 중 국내 투자상품은 12조8000억 원으로 65.0%의 비중을 차지했으며, 지난달 말 19조8000억 원으로 늘어 비중이 1.0%포인트 늘어난 66.0%로 집계됐다.
반면 같은 기간 해외 투자상품은 규모 면에서는 6조9000억 원에서 10조2000억 원으로 늘었으나 비중은 35.0%에서 34.0%로 감소했다.
국내 금융투자상품 중에서도 ETF의 비중이 크게 늘었다.
국내투자ETF가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해 말 21.2%에서 지난 8월 말 27.3%로 6.1%포인트 증가한 반면, 해외투자ETF는 78.8%에서 72.7%로 감소했다.
국내펀드 비중도 지난해 말 45.6%에서 지난 8월 말 47.9%로 2.3%포인트 늘어난 반면 해외펀드는 54.4%에서 52.1%로 줄었다.
국내주식은 2024년 말 6조1000억 원에서 지난 8월 말 9조4000억 원으로 약 3조3000억 원 증가해 금융투자상품 내에서의 비중이 30.7%에서 31.4%로 0.7%포인트 늘었다.
ISA는 하나의 계좌에서 국내 상장 주식, ETF, 펀드, 리츠(부동산투자회사), 예·적금 등 다양한 금융상품에 투자하면서 세제 혜택을 받는 계좌형 상품이다.
일정 기간 경과 후 계좌 내 금융상품 간 이익과 손실을 통산해, 순이익 기준으로 최대 200만 원(일반형 기준, 서민형은 최대 400만 원)까지 비과세된다.
금투협은 "최근 국내 증시로 유입되는 투자 자금이 늘고 주가지수도 사상 최고 수준을 기록하는 등 국내 투자 금융투자상품에 대한 선호가 늘면서 해외 투자자산에서 국내 투자자산으로 갈아타려는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더퍼블릭 / 안은혜 기자 weme35@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