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궤도 오른 '마스가'… 韓美 조선 동맹, 법·펀드·인력 플랜 동시 시동

본궤도 오른 '마스가'… 韓美 조선 동맹, 법·펀드·인력 플랜 동시 시동

  • 기자명 양원모 기자
  • 입력 2025.08.04 15:44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회 '마스가 지원법' 발의, 1500억달러 펀드·특별구역 추진
한국 조선소 생산성 美의 5배… 존스법 완화가 과제
빅3 '모듈형' 건조 협업 구상… 현지 생태계 단계적 이식

미 해군성 장관이 미국 필리조선소를 찾아 김동관 부회장과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한화오션]
미 해군성 장관이 미국 필리조선소를 찾아 김동관 부회장과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한화오션]

[더퍼블릭=양원모 기자] 미국의 조선업 경쟁력 복원을 목표로 하는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가 본격적인 실행 국면에 들어갔다.

지난달 31일 국회에 발의된 '마스가 지원법'은 한미 조선 협력 기금 조성과 미 군함 생산·수리 전담 특별구역 지정을 핵심으로 담고 있다. HD한국조선해양·한화오션·삼성중공업 등 국내 조선 빅3는 태스크포스(TF)를 꾸려 1500억달러 규모 조선업 펀드 활용안과 모듈형 협력 모델을 조율하기로 했다.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도 여러 시나리오를 검토하며 투자 구조를 구체화하고 있다. 정부는 숙련 용접공 등 미국의 인력난 해소를 위해 은퇴 기능장과 명장을 현지에 파견·교육하는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

마스가 구상은 바이든 전임 행정부 시절 단초가 마련됐다. 지난해 2월 카를로스 델 토로 당시 미 해군부 장관이 HD현대중공업·한화오션 조선소를 시찰하며 "실시간 생산 모니터링 시스템에 어안이 벙벙하다"고 평가했고, 정권이 공화당으로 교체된 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윤석열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미국의 조선업이 한국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후 존 필랜 해군부 장관 등 핵심 인사가 잇따라 한국 조선소와 미 필라델피아 한화필리조선소를 방문하며 논의가 구체화됐다. 

한국 조선소 생산성은 미국의 5배 이상이다. 지난 10년간 한국은 상선 2405척을 건조했으나 미국은 37척에 그쳤고, 같은 이지스함을 만들어도 한국은 6억 달러, 미국은 16억 달러가 든다. 

한 조선소에서 상선·이지스함·잠수함을 모두 건조할 수 있는 한국과 달리 미국은 조선소당 연간 1척 생산도 벅차다. 미 정부가 '미 상업 조선업 경쟁력 복원'과 '해군 유지·보수·정비(MRO) 역량 강화'를 동시에 추진하는 배경이다.

다만 넘어야 할 벽도 있다. 1920년 제정된 존스법과 번스-톨레프슨 수정법은 미국 내 운송 선박과 해군 함정의 자국 건조를 의무화한다. 지난 6월 공화당 마이크 리 상원의원과 톰 매클린톡 하원의원이 '미국 수역 개방 법안(Open America's Waters Act)'을 발의했지만, 규제 완화에는 시간이 필요하다.

이에 업계에선 '모듈형' 건조 방식도 검토된다. 한국에서 선체·기관·배관 등 대형 블록을 제작해 선적한 뒤 미국 현지에서 최종 조립하는 방식으로, 이는 미 의회조사국(CRS)이 3월 하원 청문회에서 제시한 시나리오다.

이 밖에 군산·거제 등 국내 중형 조선소를 활용해 미 해군 함정의 정비·보수를 우선 수행하고, 기자재 공급망과 공정 기술을 단계적으로 미국 현지에 이식하는 방안도 논의된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이 기획부터 기술 이전, 운영까지 총괄하는 새로운 협력 모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더퍼블릭 / 양원모 기자 ilchimwang@naver.com

저작권자 © 더퍼블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응원하기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