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최얼 기자]한미 관세협상 마감 시한을 이틀 앞두고 대통령실이 "국익을 최우선으로, 우리가 감내 가능한 범위 내에서, 한국과 미국이 상호 호혜적인 결과를 낼 수 있는 분야 등 몇 가지 원칙을 가지고 협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30일 언론 브리핑에서 관세 협상 과정에 대한 취재진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그는 미국과의 관세 협상 시한이 임박한 상황에서도 대통령실은 협상 타결 때까지 구체적인 언급을 자제한다는 기조를 이어나갔다. 협상내용을 미리 언급하는 것을 자제하는 조치다.
김 실장은 미국 상무장관이 정부 협상팀 측에 최종안을 가져오라고 발언했다는 보도에 대해 "협상 상대방 쪽에서는 항상 그렇게 얘기할 것이다. 대한민국 정부도 국익 최우선으로, 최선의 노력으로 협상에 임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시한 연장 가능성에 대해서도 "국익 최우선으로 차분하게 협상하고 있다"며 "대한민국은 감내 가능한, 미국과 대한민국간 상호 호혜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패키지를 짜서 실질적으로 많이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한국측이 제시한 협상 카드는 조선업을 비롯해 반도체, 이차전지 등 한국이 강세를 보이는 산업분야의 대미 투자 확대인 것으로도 전해진다. 뿐만아니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등 대기업 총수들도 미국으로 출국해 관세협상에 나서는 것으로도 전해진다.
김 실장은 "저희(대통령실)가 요청한 것은 아니다"라며 "기업 집단들에게, 대기업 회장들에게도 매우 중요한 사안이기 때문에 자발적으로 노력하고 있고 개별 민간기업들의 미국 내 네트워크가 상당하다"며 "정부 협상의 큰 틀을 공유하고 있고 우리 대신해서 민간 입장에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김 실장은 관세 협상의 다른 쟁점인 미국 농축산물 수입 확대와 관련해서는 다소 원론적인 입장만 내비쳤다.
더퍼블릭 / 최얼 기자 chldjf1212@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