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연합뉴스]](https://cdn.thepublic.kr/news/photo/202507/269005_269433_342.jpg)
[더퍼블릭=오두환 기자] 지난 12·3 비상계엄 당시 대통령실 내부 CCTV 영상이 내란 특검 수사의 핵심 증거로 떠오른 가운데, 해당 CCTV에 녹화 기능을 처음 도입하라고 지시한 인물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당시 대통령경호처장)이었다는 사실이 4일 드러났다.
대통령실 내부 영상은 원래 보안상 실시간 모니터링만 가능하고 녹화가 되지 않았다. 하지만 2022년 5월 김 전 장관이 경호처장으로 부임한 뒤, 주요 공간에 녹화 기능을 추가하라고 지시했고, 이때부터 대통령실 5층 대접견실 내부와 복도 등에 설치된 CCTV에 최대 3개월치 영상이 저장되도록 변경된 것으로 전해졌다.
내란 특검은 최근 확보한 CCTV 영상 속에서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박성재 전 법무장관,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등의 진술과 상반되는 정황을 포착하고 관련자들을 다시 불러 조사 중이다.
한 전 총리는 김 전 장관과 대화를 나눈 적 없다고 했지만, 영상에는 두 사람이 대화하는 모습이 담겼고, 이 전 장관은 문건을 본 적 없다고 했지만 회의 테이블 위 문서를 확인하고 가방에 넣는 장면이 포착됐다.
한편 김 전 장관은 이른바 ‘해병대 순직사건’ 관련 특검 수사도 동시에 받을 가능성이 크다. 당시 사고와 관련해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을 둘러싼 ‘구명 로비’에 연루됐다는 의혹이다.
특검은 김 전 장관이 2023년 7월 경호처장 시절,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공범 이종호씨 등과 함께 김건희 여사 측에 구명 청탁을 시도한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관련 인물들 간의 통화 녹음에는 “경호실장(처장)으로 있는 김용현이래” “군 인사 문제 등도 그쪽이 만들었다”는 대화가 포함돼 있었다.
특검은 김 전 장관이 임 전 사단장 조사 기록이 국방부로 회수된 직후 이종섭 당시 국방장관과 8차례 통화와 문자 연락을 주고받은 사실도 주목하고 있다.
더퍼블릭 / 오두환 기자 actsoh@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