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https://cdn.thepublic.kr/news/photo/202506/268078_268497_1235.jpg)
[더퍼블릭=이유정 기자] SK하이닉스가 고대역폭메모리(HBM) 호조에 힘입어 올 2분기 영업이익 9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하반기에는 수익성이 높은 HBM3E 12단 공급 확대에 따라 분기 영업이익 10조원 시대를 열 가능성도 제기된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의 2분기 HBM3E 12단 출하량이 전체 HBM 출하 중 절반을 넘었으며, 하반기에는 80% 이상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HBM3E 12단의 단가는 기존 8단보다 50~60%가량 높아 수익성 측면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갖는다. 이에 따라 증권가에서는 SK하이닉스의 실적 추정치를 잇따라 상향 조정 중이다.
특히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에 HBM3E를 공급하며, 올해 생산 물량을 모두 완판한 상태다. 전체 D램 매출에서 HBM이 차지하는 비중도 상반기 기준 50%를 넘어서며, 지난해 4분기 40%를 상회한 것보다 더 큰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SK하이닉스가 지난해 기록한 매출 66조1930억원, 영업이익 23조4673억원의 역대 최대 실적을 다시 뛰어넘을 수 있다는 전망을 뒷받침한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글로벌 HBM 시장에서 약 50%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최신 제품군인 HBM3E에서는 점유율이 70%에 달한다. 경쟁사인 삼성전자(30%), 마이크론(20%)과의 격차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업계는 SK하이닉스의 기술력과 고객 기반이 HBM 시장 주도권을 공고히 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삼성전자도 최근 AMD에 HBM3E 12단을 공급하며 하반기 실적 반등을 예고했지만, 전체 HBM 수요의 80% 이상을 엔비디아가 소화하고 있어 단독 반격엔 한계가 있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엔비디아 공급망에 진입하지 못하면 HBM 시장에서 의미 있는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탓이다.
반면 SK하이닉스는 이미 AI 메모리 시장의 중심축으로 부상했다. 2017년~2018년 기록했던 메모리 슈퍼사이클 당시 50%를 넘었던 영업이익률에 다시 근접할 수 있다는 기대도 커지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초격차 제품 HBM3E 12단을 앞세워 하반기에도 질주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AI 인프라 수요가 확대되는 한, HBM을 둘러싼 글로벌 경쟁의 주도권은 당분간 SK하이닉스에 머물 것으로 전망된다.
더퍼블릭 / 이유정 기자 leelyjwo@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