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硏 “트럼프 관세정책에 국내 보험사 비용상승 압력”

보험硏 “트럼프 관세정책에 국내 보험사 비용상승 압력”

  • 기자명 손세희 기자
  • 입력 2025.06.23 11:03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산 자동차 관세의 추가 인상 가능성을 언급한 지난 13일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다. [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산 자동차 관세의 추가 인상 가능성을 언급한 지난 13일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다. [사진=연합뉴스]

[더퍼블릭=손세희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전면적인 관세 부과 조치가 국내 보험사에 비용 상승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보험연구원 문제영·김가현 연구원은 지난 22일 발표한 ‘트럼프의 관세정책과 국내 보험산업’ 보고서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전면적 관세부과로 국제경제의 불확실성이 고조되고 한국을 포함한 주요 교역국의 수출 감소와 경기 둔화가 가시화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손해보험사는 자동차·건설·수출 등 관세 영향을 직접 받는 산업과 연계돼 있어 원자재 가격 상승과 환율 변동성 증가로 인해 손해율 상승과 자산운용 부담이 커질 수 있다.

특히 자동차보험의 경우 수입 부품 가격 상승이 수리비 증가로 이어져 보험료 인상 요인이 될 수 있고, 건설·화재보험은 철강·목재 등 자재값 상승에 따라 사고 시 보험금 규모가 커져 손해율이 오를 가능성이 있다는 설명이다.

생명보험사의 경우 금리와 경기 변동에 민감한 구조적 특성상 계약 감소, 자산운용 수익률 저하, 지급여력비율(K-ICS) 악화 등의 복합 리스크에 노출될 수 있다고 분석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경기 둔화에 따른 실질소득 감소로 생명보험 상품의 신규 계약이 정체되고, 장기 투자형 상품 수익률 하락으로 해지율이 높아져 유동성과 수익성 모두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장기적인 저금리 기조가 이어질 경우 확정금리형 상품의 역마진 위험이 커지며 지급여력비율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두 연구원은 “보험사들은 고관세 부과 대상 산업과 수출의존도가 높은 기업군에 대한 모니터링을 기반으로 인수심사기준과 요율체계를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며 “금리와 환율 변동성 확대로 인한 자산운용 어려움에 대비, 자산과 부채 간 듀레이션 매칭을 정교화하고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통해 부채의 금리 민감도를 완화하고, 환 헤지 전략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더퍼블릭 / 손세희 기자 sonsh821@thepublic.kr

저작권자 © 더퍼블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응원하기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