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홍찬영 기자]지난해 실적악화 여파에도 공기업 기관장들은 억단위의 성과급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중 한국전력 산하 발전 공기업인 남동발전의 기관장이 1억3200만원으로 가장 많은 성과급을 챙긴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국민의힘 구자근 의원실이 국회예산정책처로부터 자료를 받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36개 공기업들의 상임기관장 성과급 총액은 28억100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9년과 비교해 1억1000만원 늘어난 수준이다.
특히, 지난해 기준 상임기관장 성과급이 1억원을 넘긴 기관은 8곳으로 집계됐다. 이중 한국전력 산하 발전공기업인 남동발전의 기관장이 1억3193만원으로 가장 많은 성과급을 수령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한국수력원자력(1억2781만원), ▲한국부동산원(1억2693만원), ▲한국토지주택공사(1억1880만원), ▲한국조폐공사(1억1693만원), ▲인천국제공항공사(1억1438만원), ▲한국도로공사(1억1338만원), ▲한국전력(1조1000만원) 등의 기관장들은 모두 1억원이 넘는 성과급을 받았다.
반면 공기업들의 수익성은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36개 공기업 당기순손익은 2016년 10조8000억원, 2017년 6조3000억원, 2018년 2조1000억원, 2019년 1조5000억원으로 해마다 줄었으나, 지난해에는 1758억원 적자로 돌아섰다.
부채총계ㄷㅎ 2016년 362조6700억원에서 지난해 396조2900억원으로 33조6200억원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코로나19의 영향과 감가상각비, 인건비 등 고정비가 큰 원가가 하방 경직성을 띄운 것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이처럼 경영이 악화되고 있음에도 성과급이 늘어난 건 '공공기관 경영평가'에 관련 배점이 높지 않은 탓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실제 기획재정부의 '2021년 공공기관 경영평가 편람'에 따르면 평가점수 총 100점 가운데 '재무 예산 운영 성과'는 5점에 불과하다.
구자근 의원은 "문재인 정부 들어 공공기관 평가 항목에서 경영 효율화를 통한 재무 개선 등에 대한 평가는 줄어들고 일자리 창출과 사회적 공헌도에 대한 평가가 높아지면서 공기업들의 방만 경영이 더욱 심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더퍼블릭 / 홍찬영 기자 chanyeong8411@thepublic.kr
더퍼블릭 / 홍찬영 chanyeong841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