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 [연합뉴스]](https://cdn.thepublic.kr/news/photo/202511/283969_285365_5148.jpg)
[더퍼블릭=오두환 기자]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가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추진 중인 공천룰 변경을 놓고 당내 반발이 거세지는 가운데, 정 대표는 18일 “공천 혁명”이라며 강행 의지를 다시 강조했다.
당헌·당규 개정에 대한 논란이 커지자 이를 ‘당원 주권’으로 포장하며 비판 여론을 정면 돌파하려는 모습이다.
정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대표·전국기초광역의회의원협의회 간담회’에서 지방선거 공천룰 개정이 “당원 주권 시대를 여는, 당원 주권 정당으로 가는 작업”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권리당원 투표로 비례대표를 선출하는 방안에 대해 “풀뿌리 민주주의, 직접민주주의 차원에서 공천 혁명”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당내에서는 반발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문제의 핵심은 정 대표가 예고한 전 당원 투표의 참여 자격을 기존 ‘6개월 이상 당비 납부자’가 아닌 ‘10월 한 달만 당비를 납부한 당원’으로 변경한 것이다.
민주당 이언주 최고위원은 “기존 관행과 달라 당 지도부에 대한 불신을 초래할 수 있다”고 공개 비판했다.
더욱이 정 대표 체제에서 새로 가입한 당원들을 투표에 포함시키려는 것 아니냐는 의심까지 제기된다. 친이재명계 당원들 사이에서도 “8·2 전당대회에서 정청래 대표가 당선된 방식이 그대로 반복되는 것 아니냐”는 불만이 나오는 상황이다.
논란이 확산되자 조승래 사무총장은 페이스북에 “당원의 의견을 듣겠다는 절차가 ‘의결을 위한 당원 자격 논란’으로 전개돼 안타깝다”고 해명했다.
조 사무총장은 “최근 당비를 납부한 당원은 165만명 정도이며 이번 의견 조사 대상이 바로 당비 납부 당원”이라며 “의견조사 대상은 의결 절차가 아니므로 최근 당비를 납부한 자로 정해 의견 수렴 폭을 넓혔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당 안팎에서는 “의결 절차가 아니라고 하지만 사실상 공천룰 개정을 밀어붙이기 위한 여론전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결국 정 대표가 ‘당원 직선제’라는 명분을 내세우고는 있지만, 실제로는 자신의 기반을 넓히기 위한 공천 장악 전략이라는 비판이 힘을 얻고 있다.
정 대표는 "내일부터 이틀간 당원 의사를 묻는 절차도 진행할 예정"이라며 개정 작업을 예정대로 추진할 뜻을 분명히 했다.
하지만 당내에서 이미 “선거 앞두고 스스로 분열을 부추기고 있다”는 우려와 “공천룰을 정청래식으로 다시 짜는 것”이라는 비판이 동시에 터져나오고 있어, 갈등은 한동안 이어질 전망이다.
더퍼블릭 / 오두환 기자 actsoh@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