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연합뉴스]](https://cdn.thepublic.kr/news/photo/202511/283445_284826_1039.png)
[더퍼블릭=오두환 기자]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산기협)가 정부가 확정 발표한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와 관련해 국내 기후테크 산업의 구조적 한계를 지적했다.
국내 기후테크 R&D가 전기차와 이차전지 분야에 과도하게 집중돼 있어 목표 달성에 어려움이 예상된다는 분석이다.
산기협은 13일 발표한 ‘국내 기후테크 기업의 연구개발(R&D) 현황 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기후테크 관련 기업연구소를 보유한 1620개사를 분석한 결과, 연구개발 투자와 인력의 압도적 비중이 전기차·배터리 분야에 몰려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기차·이차전지 분야가 전체 기후테크 R&D의 89%, 연구인력의 84%를 차지했다. 특히 전기차 분야와 기후테크 ICT 분야를 비교했을 때 R&D 비중은 1,818배, 연구인력은 372배의 격차가 난 것으로 조사됐다.
산기협은 “산업 내 기술 편중이 심화되면서 기후테크 산업 전반의 균형 성장이 이뤄지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기초연구 투자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테크 분야의 기초연구 비중은 7%로, 전 산업 평균(10.8%)의 3분의 2 수준에 그쳤다. 탄소중립의 핵심 기반이 되는 원천기술 확보가 지연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정부 R&D 재원 비중 역시 지난 4년간 1.6%에서 1.8%로 0.2%포인트 증가하는 데 그쳐 전 산업 전체 비중(5.7%) 대비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산기협은 보고서에서 “국내 기후테크 산업은 양적 성장을 이어가고 있지만, 기술 간 불균형과 기초연구 비중 부족 등 구조적 한계가 뚜렷하다”며 “이 상태로는 탄소중립 목표 달성뿐 아니라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에서도 주도권 확보가 어렵다”고 진단했다.
고서곤 산기협 상임부회장은 “기후테크는 탄소중립과 산업 경쟁력을 동시에 이끌 핵심 분야이지만 현재의 기술 편중 구조로는 NDC 달성도 어려울 것”이라며 “정부는 기초연구 투자 확대와 다양한 기후테크 분야의 혁신 생태계 조성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퍼블릭 / 오두환 기자 actsoh@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