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종연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최근 불거진 이른바 ‘친명(親明) 컷오프’ 논란에 침묵으로 일관하면서 당내 갈등이 확산 조짐을 보이고 있다. 부산 수영구 지역위원장직에서 탈락한 유동철 위원장이 “정청래 대표가 직접 결자해지하라”고 공개 요구했지만, 정 대표는 닷새째 아무런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유 위원장은 지난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 대표가 약속한 ‘컷오프 없는 100% 완전경선’이 지켜지지 않았다”며 “공정 경선을 내세운 지도부가 내부 줄 세우기로 일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당대표가 책임지고 이 문제를 풀어야 한다”며 정 대표의 해명을 촉구했다.
하지만 정 대표는 이틀째 유 위원장의 항의에 ‘무응답 전략’을 유지하고 있다. 민주당 관계자에 따르면 정 대표는 유 위원장에게 어떠한 개인적 연락도 하지 않았으며, 관련 언급도 내부 회의에서 일절 삼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논란의 중심에는 면접을 주도한 문정복 조직강화특위 부위원장이 있다. 유 위원장은 문 부위원장이 면접 과정에서 “근거 없는 소문을 이유로 탈락시켰다”고 주장하며 사과와 사퇴를 요구했다. 문 부위원장은 전날 기자들에게 “유 위원장 관련 소문은 들었으나 제3의 피해자가 발생할 수 있어 언급하기 어렵다”며 “시도당위원장 경선에는 재심 기능이 없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공식 사과나 재심 검토는 없었다.
민주당 내부에서는 “명백한 부당 컷오프” “지도부 책임론”이 제기된다. 한 중진 의원은 데일리안 측에 “확인되지 않은 소문 하나로 탈락시킨다면 누가 납득하겠느냐”며 “밝히지 못하는 다른 이유가 있는 것 아니냐”고 꼬집었다.
문진석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이날 BBS라디오에서 “정 대표가 ‘컷오프를 하지 않겠다’고 한 건 지방선거 공천을 두고 한 말”이라며 “시도당위원장 경선은 당직 선거이므로 확대 해석은 부적절하다”고 진화에 나섰다. 하지만 유 위원장은 “말장난으로 책임을 회피한다”며 추가 기자회견을 예고했다. 이번이 세 번째 기자회견이 될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이번 사태가 ‘명(明) vs 청(淸)’ 갈등, 즉 이재명 대통령계와 정청래 지도부 간 균열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유인태 전 국회사무총장은 CBS라디오에서 “지금 대통령이 가장 강한 시점인데, 턱도 없는 갈등”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민주당은 이달 중 내년 지방선거 공천룰을 확정할 예정이다. 정 대표는 지난 2일 전남도당 임시대회에서 “억울한 컷오프를 없애겠다”며 “결격사유가 없는 한 누구나 경선에 참여시킬 것”이라고 공언했다. 그러나 이번 사태로 ‘정청래표 공정 경선’의 신뢰는 이미 상처를 입었다는 평가가 당 안팎에서 나온다.
더퍼블릭 / 김종연 기자 jynews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