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이유정 기자] 기업 회생 절차(법정관리)를 진행 중인 홈플러스 인수전에 인공지능(AI) 기반 유통기업을 포함한 두 곳이 인수의향서를 제출했다.
31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이달 2일부터 이날 오후 3시까지 인수의향서(LOI)를 접수한 결과, AI 업체 하렉스인포텍 등 2곳이 참여 의사를 보인 것으로 파악됐다.
박경양 하렉스인포텍 대표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홈플러스의 유통 플랫폼에 ‘AI 에이전트’ 직거래 경제 모델을 적용해 홈플러스 회생 성장에 기여하겠다”며 “AI 에이전트 혁신 경제의 글로벌 모델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2000년에 설립된 하렉스인포텍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직거래 유통 중개 기술을 기반으로 물류 혁신을 추진하는 중소 IT기업이다.
이 회사는 인수의향서에 미국 투자 자문사 아나리 캐피털(Anari Capital)을 통해 약 20 달러(약 2조8000억원)를 조달해 홈플러스를 인수하겠다는 계획을 담았다.
다른 한 곳의 인수 의향자는 신원을 공개하지 않았다.
한편, 이번 국정감사에서 유력 인수 후보로 거론됐던 농협은 인수의향서를 제출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홈플러스는 다음 달 3일부터 21일까지 예비 실사를 진행한 뒤, 26일 최종 입찰서를 접수받을 예정이다. 매각 주간사인 삼일회계법인은 제출된 인수의향서와 자금 조달 계획, 사업 계획의 타당성을 검토한 뒤, 실사를 위한 비밀준수협약(NDA)을 체결할 방침이다.
삼일회계법인은 “최종 입찰일 이전까지 새로운 매수 희망자가 나타날 경우 협의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매각은 기존 대주주인 MBK파트너스가 보유한 보통주 전량을 무상 소각하고, 신주 발행을 통해 제3자에게 인수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인수 후보가 등장하면서 홈플러스도 일단 숨통이 트였다. 특히 법원이 다음 달 10일로 설정한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을 추가로 연장할 가능성도 커졌다.
법원은 앞서 홈플러스의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을 네 차례 연장해온 바 있다.
홈플러스는 “매각 성사에 대한 기대감이 확인됐다”며 “영업 정상화를 통해 이번 공개입찰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수 있도록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홈플러스는 지난 3월 4일 회생절차 개시 이후 “M&A만이 살길”이라며 새 주인을 찾고 있다.
현재 홈플러스는 대형마트 123개, 슈퍼마켓형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297개를 운영 중이다.
당초 홈플러스는 익스프레스 부문만 분할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회생 절차 돌입 이후 ‘통매각’으로 방침을 바꿨다.
그동안 농협, 쿠팡, GS리테일, 알리익스프레스 등이 인수 후보로 거론됐지만 모두 “사실무근”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더퍼블릭 / 이유정 기자 leelyjwo@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