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홍찬영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하반기 5100호 규모의 민간참여사업을 새로 내놓으면서 건설업계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건설경기 침체 속 안정적인 일감을 확보하려는 건설사들이 대거 몰렸지만, 실제 참여 여부를 두고선 수익성 한계를 저울질하는 분위기다.
26일 LH에 따르면 LH는 지난 25일 ‘민간협력 거버넌스 포럼’을 열고 하반기 민간참여사업 추진계획을 밝혔다.
이번 사업은 △남양주왕숙2(1082호) △부천대장(574호) △인천계양(1216호) △수원당수(2309호) 등 4개 지구·8개 블록, 약 1조2000억원 규모다. 10월 민간사업자 공모 공고를 거쳐 연내 사업자 선정 절차를 마치고 내년 6월 착공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민간참여사업은 LH와 민간이 공동 시행하는 구조로, 민간의 기술력과 브랜드를 활용해 공공주택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지난 9·7 대책 이후에는 LH가 공사비만 지급하고 수익 배분은 제외하는 도급형으로 전환됐다.
이 때문에 사업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에도 불구하고, 설명회에는 건설사 60곳, 설계사 31곳 관계자가 몰렸다. 업계 불황으로 일감이 급격히 줄어든 상황에서 ‘안정적인 물량’이라는 점이 관심을 끌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실제 수주전이 활발하게 전개될지는 미지수다. 건설사의 자체 분양사업과 비교하면 수익성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이다. 예컨대 호반건설의 지난해 분양사업 매출이익률은 23.6%였던 반면, 도급 공사 매출이익률은 3.7%에 그쳤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불황 속에 물량이 귀하다 보니 관심을 보이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수익성이 낮아 적극적인 참여로 이어질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LH는 이번 공모에서 안전·품질 관리 항목을 대폭 강화했다. 사망사고 및 산재 예방 활동을 평가 기준에 반영하고, 공공·민간 상생 금융지원 제도를 통해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지급보증을 제공해 민간이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상반기 3만호에 이어 하반기 5100호를 더해 올해 민간참여사업 물량은 총 3만5100호로 늘어난다. LH는 이 가운데 연말까지 1만8000호 착공을 추진할 방침이다.
다만 업계 안팎에서는 “물량 확대라는 양적 목표만으로는 참여를 담보하기 어렵다”며, 불황기 건설사의 수익성 고민을 해소할 대책이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퍼블릭 / 홍찬영 기자 chanyeong841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