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홍찬영 기자] 정부가 석유화학 업계에 구조조정안을 마련해 제출하라고 요구하면서 업계 전반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업계에서는 늦어도 오는 11월 초까지는 구체적 청사진을 내놔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정부는 주요 석화 기업들에 구조조정 방안을 조속히 마련해 제출하라는 가이드 라인을 발송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지난달 정부가 연간 270만~370만 톤 규모의 납사분해시설(NCC) 감축을 골자로 한 구조조정안을 발표한 뒤 한 달여 만에 나온 후속 조치다.
구조조정의 핵심은 NCC 감축이다. 이에 따라 정유사와 화학사 간 합작을 통한 수직계열화 시나리오가 유력하게 거론된다. 여수 지역에서는 GS컬텍스와 LG화학의 합작, 대산 지역에서는 HD현대오일뱅크와 롯데케미칼 간 협력 가능성이 꾸준히 언급되고 있다.
다만 기업 간 이해관계가 엇갈리면서 협상은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정유사들은 중국·중동발 공급 과잉 상황에서 납사분해시설(NCC)을 떠안는 것이 부담스럽다는 입장이고, 화학사들은 자산 가치와 협상 조건을 최대한 인정받아야 한다며 물러서지 않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구체적인 구조조정안을 요구한 것은 사실상 기업들에 ‘시간 끌지 말고 서둘러 결론을 내라’는 압박으로 해석된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 19일 울산 석유화학단지를 찾아 “기업 간 협의에 속도를 내 사업재편 계획을 조속히 마련해달라”며 “정부도 맞춤형 지원책을 통해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2~3년 안에 구조조정을 마무리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이를 위해 불이행 기업에는 페널티를 부과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는 데 대체로 공감하면서도 실제 협상이 성사될지는 미지수라는 반응이다. 한 석화업계 관계자는 “결국 설비가 인접한 기업들끼리 협력할 수밖에 없다”며 “정부의 의지가 강한 만큼 어떤 방식으로든 결론이 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더퍼블릭 / 홍찬영 기자 chanyeong841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