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이유정 기자] 해킹 사태 이후 유심 무상 교체를 약속한 SK텔레콤이 기기변경을 통해 유심을 교체한 소비자에게 비용 청구를 하겠다는 문자를 잘못 발송하며 또 한 번 뭇매를 맞고 있다.
12일자 <매일경제> 단독 보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최근 정보유출 사고 이후 기기변경 방식으로 유심을 교체한 가입자에게 다음 달 청구될 유심 비용 7700원을 후불로 부과하겠다는 내용의 안내 문자를 발송했다.
유심 교체 대란으로 곤란을 겪은 소비자는 황당하다는 입장이다. 긴급히 휴대폰을 써야 하는 상황에서 기기변경을 통해 유심을 받았고, 이번 문자로 인해 유심비까지 부담하게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진 것.
앞서 SK텔레콤은 지난달 개인정보 유출이 확인된 직후 전체 고객 2400만명을 대상으로 유심 무상 교체를 약속한 바 있다. 그러나 실제로 유심을 교체할 수 있는 대리점 수급이 턱없이 부족했고, 소비자가 몰리면서 교체는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운 상황이 됐다.
특히 정부가 지난 5일 SK텔레콤에 대해 번호이동 및 신규가입 제한 조치를 내린 상황에서 이 같은 문자 발송은 부적절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해당 문자에 대해 SK텔레콤 측은 해킹 이후 기기변경은 유심비를 실제로 청구하지 않는다고 해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내달에 전달과 달리 늘어난 비용이 청구된다는 내용을 알리는 문자 발송 시스템이 수정되지 않아 생긴 일이라는 것이다.
이 같은 해명에도 고객 불만은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민감한 시기에 본사에서 이런 문자를 보내는 것 자체가 납득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해당 제보자는 <매일경제>를 통해 “유심 교체를 받을 수 없어 공식대리점을 찾아 기기변경을 했는데 내달 유심비를 청구하겠다는 안내 문자를 받은 것이 황당했다”고 말했다고 한다.
더퍼블릭 / 이유정 기자 leelyjwo@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