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종연 기자] 지난 대선을 앞두고 더불어민주당 의원들과 통화를 한 것으로 알려진 김세환 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총장이 지난해 치러진 인천 강화군수 보궐선거에 국민의힘 소속으로 출마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정치 중립 위반 의혹이 일고 있는데, 통화는 민주당하고만 했는데, 출마는 국민의힘에서 했다는 점이 석연치 않다.
2022년 3월 대선 사전투표 부실 관리 논란이 불거지자 자진사퇴 했던 김 전 사무총장은 지난해 7월 치러진 인천 강화군수 보궐선거에 국민의힘 후보로 출마해 경선을 치렀다.
김 전 총장이 이런 이유로 퇴직했지만, 국민의힘은 부적격자 컷오프를 하지 않았다. 1차 경선을 통과한 김 전 총장은 4명이 붙은 2차 경선에서 탈락했다. 그는 지난해 이 지역구 국회의원 후보였던 3월 9일 배준영 국민의힘 의원의 선거사무소 개소식에도 참석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그는 이른바 ‘세컨폰’을 선관위 명의로 개통해서 더불어민주당 의원들과 통화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선관위 측은 “소속 상임위 의원들과 통화한 것”이라는 입장이지만, 국민의힘 의원과는 소통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특정 정당 인물들과 연락한 부분에 각종 의혹과 연결된다는 의심이 생기고 있다. 특히, 정치중립을 위반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뿐만이 아니다. 자신의 아들이 선관위 직원으로 있는 지역에 출마한 것도 공정성 논란 소지가 크다. 심지어 아들 채용과 관련해 지난 4월 전·현직 직원 27명을 검찰에 수사의뢰 했다.
‘세자’로 불린 김 전 총장 아들은 강화군청에서 일하다가 2020년 1월부터 강화군 선관위로 이직했다. 김 씨가 채용 원서를 내자 강화군 선관위는 채용 인원을 1명에서 2명으로 늘렸고, 8급 이하, 나이는 35세 이하, 인천 출·퇴근 가능자로 자격요건을 바꿨다. 김 씨의 자격에 채용 요건을 맞춘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다.
면접 심사위원에는 김 전 사무총장과 수년을 같이 일한 동료들이 들어갔고, 김 씨에게는 만점을 줬다.
검찰은 지난 7월 중앙선관위와 인천선관위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하고 전자기기에 대한 포렌식을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선관위 직원들은 김 씨를 ‘세자’로 지칭했던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또한, 김 전 사무총장은 자신이 사용했던 노트북과 휴대전화를 초기화 했던 것으로 드러나 증거인멸 정황도 발견됐다. 타인의 증거까지 포함된 경우 증거인멸은 유죄가 된다.
검찰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법원은 도주의 우려가 없다는 이유로 영장을 기각해 불구속 수사 중이다.
더퍼블릭 / 김종연 기자 jynews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