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영일 기자] 북한 김정은이 러시아에 북한군을 파병한 것과 관련, 국방정보본부는 30일 파병된 북한군 선발대 가운에 일부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선에 투입됐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국방정보본부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러한 내용을 보고했다고 여야 간사인 국민의힘 이성권 의원과 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의원이 전했다.
외신 등 북한군 전선 투입 보도와 관련해, 국방정보본부는 “파병된 북한군이 전선에 투입돼 있다는 정확한 정보는 아직 없다”면서도 “일부 선발대가 전선에 투입됐을 개연성은 있어 보인다. 쿠르스크 등 전장으로의 이동이 임박해 있는 건 사실”이라고 밝혔다.
파병된 북한군의 편제와 관련해서는 “독자적인 북한군 편제를 통해 전투를 수행하기보다는 러시아군과 혼합 편제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며 “언어‧지역 문제 등으로 독자적으로 전투를 수행하기는 상당히 어려움이 있고 혼합 편제를 해야 효율적일 것”이라고 관측했다.
북한과 러시아의 관계에 대해선 “혈맹관계로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고 그 과정에서 상호 간 방위 능력이 강화되도록 지원을 교환하고 있다”며 “특히 북한이 러시아의 우주‧첨단군사 기술 수용뿐만 아니라 재래식 전력 현대화도 추진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북한이 북한군 가운데 폭풍군단(북한군 11군단)을 파병한 이유에 대해서는 “일반 보병보다는 훨씬 전투력이 강하고 정예부대이기 때문에 적합하다는 판단을 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의식한 측면도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국방정보본부는 “하지만 (폭풍군단은)후방 침투 임무를 가진 부대고 현재 쿠르스크 등 전쟁터는 개활지이기 때문에 전투에 있어서 상당히 제한이 있을 것”이라며 “특히 드론전 형태로 전쟁이 진행되고 있는데, 북한군에는 드론이 보급돼 있지 않고 그에 맞는 훈련이 안 된 상황이기 때문에 (북한군의)상당한 피해가 예상된다”고 진단했다.
북한이 남북 군사분계선(MDL) 일대에 장벽 공사를 하고 있는데 대해선 “전 전선에 걸쳐 10여군데 장병이 투입된 경향이 보였는데, 앞으로 군사분계선 상의 공세적 군사활동으로 인한 특정 분쟁 가능성에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방정보본부는 북한이 미국 대선 전에 핵 이슈 부각을 시도할 것이라 전망했다.
국방정보본부는 “북한이 미국 대선 전에 핵 이슈를 부각을 시도할 것”이라며 “현재 풍계리 내 핵실험장의 내부 준비는 끝낸 것으로 보인다. 이미 우라늄 농축 시절에 김정은이 방문했고 SLBM(잠수함발사탄도미사사일), ICBM(대륙간탄도미사일) 같은 탄도미사일 발사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이동식미사일발사대(TEL)에 대한 준비가 끝나 특정 지역에 배치된 상황이고, 대기권 재진입 기술 검증을 위한 ICBM 기술 검증을 위한 발사가 이뤄질 수 있는데, 시점은 11월 미국 대선을 겨냥한 전후”라고 예상했다.
나아가 “7차 핵실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실제 풍계리에서 핵실험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고, 이미 핵실험을 위한 모든 준비는 다 완료된 상황”이라고 부연했다.
우리 군의 대북 확성기 방송 영향에 대해선 “북한군에게 나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확인된다”면서 “예를 들면 GP(감시초소) 근무자가 우리 대북 방송 시간 때 춤을 추는 모습이 포착됐다”고 했다.
우리 군의 무인기가 평양에 침투했다는 북한의 주장과 관련해서는 “북한이 이미 11~12차례 우리 측에 무인기를 보내고도 아무런 해명도, 사과도 안 했기 때문에 우리도 맞대응보다는 무시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이미지=연합뉴스>
더퍼블릭 / 김영일 기자 kill0127@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