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https://cdn.thepublic.kr/news/photo/202407/230295_228726_495.jpg)
[더퍼블릭=최얼 기자] 민주당의 주도로 19일 국회에서 열린 이번 청문회가 ‘채 상병 사건 수사 외압 의혹’ 중심으로 진행된 가운데 이전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를 보여 정치권의 주목을 받고 있다. ‘불법 꼼수 청문회’라며 강하게 반발한 여당 국민의힘이 적극적으로 공세를 펼치고, 참석한 증인들도 자신의 입장을 당당히 밝히며 치열한 공방을 주고 받으면서다.
신동욱 국민의힘 원내 수석대변인은 19일 논평에서 민주당의 일방적인 강행으로 국회를 무법천지로 만들었다고 비판했다.
신 원내 수석대변인은 “국민의힘은 민주당이 고발을 운운하며 증인을 강제 출석시키고 청문회를 강행함에 따라 어쩔 수 없이 청문회장에 들어갔다”며 “정청래 법사위원장은 청문회 강행도 모자라 이를 항의하는 국민의힘 법사위원들에게 ‘발언권을 빼앗겠다’, ‘퇴장을 명령하겠다’고 하는 등 마치 왕처럼 군림했다”고 말했다.
이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청문회는 채 상병 사건 수사 외압 의혹 등을 다뤘다. 여당 주도로 열린 이번 청문회는 시작 전부터 여야 의원들이 대립하며 강한 충돌을 일으켰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청문회가 시작된 이후에도 법사위원장실 앞에서 “위법청문 원천무효” 등 구호를 외치며 규탄대회를 진행하기도 했다.
이번 청문회에선 증인으로 나온 군 장성들을 향한 비판이 주요 쟁점이 됐는데 해당 논제는 앞서부터 국민과 해병대원들의 분노를 자아낸 바 있다.
하지만 여당 의원들은 이에 굴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참여해 청문회의 균형을 맞추는 데 주력했으며, 증인들 또한 당당히 자신들의 입장을 밝히며 야당의 공세에 맞섰다.
특히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이근열 관련 대통령 탄핵 청문회는 과거와는 확연히 다른 분위기를 연출해 주목을 받았다. 이전 청문회에선 야당 의원들의 일방적인 공세가 두드러졌던 반면, 이번 청문회에선 여당 의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균형 잡힌 논의를 이끌은 것이다.
이 가운데 여당 의원들의 공세와 증인들의 당당한 대응이 돋보였다. 곽규태, 주진우 의원은 야당 의원들의 공세에 맞서며 여당의 입장을 옹호했다.
특히 군 장성들의 대응에서 큰 변화가 두드러졌다. 과거 청문회에선 증인들이 야당 의원들의 공격에 소극적으로 대처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이번 청문회에선 자신들의 입장을 당당히 밝히며 상황이 달라졌다.
정리하면, 곽 의원과 주 의원이 여당의 입장을 분명히 하는 등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자, 청문회의 분위기가 전환됐고 증인들도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장이 마련된 것이다.
대표적으로 임성근 사단장은 휴대전화 비밀번호를 공수처에 제공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비판받았지만 이에 대해 차분하게 설명하며 자신을 방어했다. 그는 휴대전화의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한다고 하면서도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했다. 이는 과거와는 달리 증인들이 대응하는 모습을 보여준 사례였다.
또한, 김동혁 국방부 검찰단장은 서영교 의원의 질문에 굴하지 않고, 거짓말을 한 적이 없다고 자신의 입장을 알렸다.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또한 자신이 죄인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며, 야당 의원들의 질의에 적극적으로 반박했다. 신범철 국방부 장관은 대통령으로부터 서류 회수 지시를 받은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성창경 자유통일당 수석대변인은 자신의 유튜브 채널 성창경 TV를 통해 “국민의힘 투사 두사람이 탄생했다. 곽규태 의원, 주진우 의원이 아주 맹활약을 보였다”며 “더 이상의 일방적인 청문회가 아니었다”고 강조했다.
더퍼블릭 / 최얼 기자 chldjf1212@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