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https://cdn.thepublic.kr/news/photo/202310/204913_204427_3724.jpg)
[더퍼블릭=이유정 기자]고금리·고물가가 지속되면서 대형마트들이 상품 가격을 낮출 수 있는 초저가 판촉 경쟁을 펼치고 있다.
16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이마트는 올해 4월부터 이마트 앱을 통해 공동구매 기획 이벤트인 오더픽을 진행하고 있다. 목표한 주문을 달성할 경우 정상가 대비 70% 이상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오더픽은 주문(order)과 픽업(pick up)의 합성어로, 앱을 통해 공동 구매 상품을 주문·결제하고 지정한 매장에서 수령하는 방식이다. 사전에 판매 수량을 대량 확보함으로써 협력업체에 충분한 발주량을 보장하고, 재고 부담을 덜어 가격을 낮추는 시스템이다.
롯데는 마트와 슈퍼가 공동으로 기획·개발한 ‘온리원딜’을 내세웠다. 공동 소싱(조달)으로 매입 물량을 확대하고, 상품 운용을 효율화해 원가 경쟁력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판매가격은 일반 상품 대비 최대 50% 저렴하다.
롯데는 지난 6월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은 20여개의 온리원딜 상품을 처음 선보였고 최근에는 품목 수를 견과류와 우유, 김치, 고추장 등 식품부터 치약, 세탁세제 등 생활 잡화까지 상품군을 다양하게 70여개로 구성·확대했다.
홈플러스도 소비자가 많이 찾는 인기 상품을 중심으로 온라인 사전 예약제인 일종의 ‘얼리버드’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상품 가격 할인 또는 연계 상품 증정 등의 방식으로 소비자의 가격 인하 체감 효과를 높였다.
홈플러스는 지난해까지 비정기적으로 기획전을 운영했으나, 고물가 기조가 고착되고 고객의 구매 수요가 늘자, 올해 3월부터 이를 매주 정기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대형마트의 이러한 초저가 판촉 이벤트에 대한 소비자 반응은 긍정적이다. 실제 이달까지 9차례 진행된 이마트 오더픽은 매번 완판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이번달 12~18일엔 건강기능식품 등 4개 품목을 대상으로 공동구매 기획전을 진행 중인데 일부 품목의 경우 주문량이 목표수량의 860%를 넘어섰다.
또 롯데마트·슈퍼의 온리원딜 상품도 높은 가격경쟁력이 효과를 발휘하며, 같은 품목의 다른 상품 대비 판매량이 최대 6배가량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업계에선 장바구니 물가 부담이 가중되는 가운데 조금이라도 더 저렴한 물건을 찾아 구매하려는 소비 행태가 반영됐다고 해석했다.
더퍼블릭 / 이유정 기자 leelyjwo@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