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4.5일제 등 놓고 현대車 노조 이견… "본사에 집중" vs "노동 환경 개선"

주 4.5일제 등 놓고 현대車 노조 이견… "본사에 집중" vs "노동 환경 개선"

  • 기자명 양원모 기자
  • 입력 2025.07.09 18:39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 임단협 핵심 쟁점 놓고 세대별 입장차 뚜렷
젊은 조합원 "실리 추구해야"…기성세대 "사회적 책임"
노조 가입자 첫 4만명 붕괴…MZ세대 이탈 가속화

현대차 울산공장 [사진=연합뉴스]
현대차 울산공장 [사진=연합뉴스]

[더퍼블릭=양원모 기자] 임금·단체협약을 진행하고 있는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 주 4.5일제 도입과 정년 연장을 놓고 세대 간 이견을 보이고 있다. '본사 근로자 실익에 집중해야 한다'는 젊은 층과 '노동 환경 개선을 선도해야 한다'는 기성세대 간 갈등이 표면화한 것이다.

현대차 노사는 지난달 18일 상견례를 시작으로 임단협에 돌입해 현재까지 7차례 교섭을 진행했다. 노조는 ▲기본급 14만 1300원 인상 ▲전년 순이익의 30% 성과급 ▲상여금 900% ▲임금 삭감 없는 주 4.5일제 도입 ▲국민연금 수급과 연계한 정년 연장 ▲퇴직금 누진제 ▲통상임금 위로금 2000만원 등을 요구하고 있다.

최대 쟁점은 금요일 근무 시간을 4시간으로 줄여 주당 노동 시간을 36시간으로 단축하는 '주 4.5일제'와 만 60세인 정년을 64세로 늘리는 방안이다. 노조는 "만 61세부터 적용되는 숙련 재고용 제도가 고용 불안정성을 내포하고 있다"며 정년 연장을 주장하고 있다.

기성세대가 주축인 노조 집행부는 2003년 현대차가 주 5일제를 도입하며 업계를 선도했듯이, 이번에도 현대차가 노동 환경 개선의 선봉에 서야 한다는 입장이다. 과거 현대차의 주 5일제 도입은 금속노조 산하 40개 자동차 부품업체와 3400여 협력업체로 확산되는 계기가 됐다.

반면 노조 내 젊은 세대는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한 현대차 소속 직원은 지난달 28일 직장인 온라인 커뮤니티 블라인드에 "정년 연장, 주 4.5일제는 정부 추진 과제라 기다리면 될 텐데, 왜 선봉에 서는지 이해가 안 된다"고 밝혔다. 사안에 반대하는 것은 아니지만 성과급 확대 등 현대차 근로자에게 직접 혜택을 주는 요구에 협상력을 집중해야 한다고 것이다. 

실리를 추구하는 젊은 조합원들은 휴일까지 반납하며 진행되는 '정치 파업'에도 부정적인 시선을 보내고 있다. 생산 차질에 따른 회사 실적 악화와 브랜드 이미지 실추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미국의 수입차 관세 인상 가능성 등 대외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무리한 요구는 기업 경쟁력을 해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런 세대 간 갈등은 노조의 위상 약화로 이어지고 있다. 현대차가 발간한 '2025 지속 가능성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노조 가입자 수는 3만 9662명으로 처음 4만명 아래로 떨어졌다. 2022년 4만2296명에서 2년 연속 감소한 수치다. 전체 직원 중 노조 가입률도 2021년 66.3%에서 2023년 11월 말 기준 59.9%로 6.4%포인트 급락했다.

이 같은 세대 갈등과 노조 이탈 현상은 현대차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삼성전자 최대 노조인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 집행부가 최근 일괄 사의를 표명한 배경에도 지난해 임단협 과정에서 발생한 노-노 갈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업계 관계자는 "노조가 기성 조합원의 요구에 치중하면서 MZ세대의 지지를 잃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더퍼블릭 / 양원모 기자 ilchimwang@naver.com

저작권자 © 더퍼블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응원하기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