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https://cdn.thepublic.kr/news/photo/202506/266075_266256_259.jpg)
[더퍼블릭=이유정 기자] 올해 1분기 글로벌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시장에서 대만 TSMC가 독주 체제를 강화한 가운데, 삼성전자는 매출 하락과 점유율 감소를 기록하며 주춤한 모습을 보이며 입지가 흔들리고 있다.
중국 SMIC 또한 매출과 점유율 모두 상승하며 삼성전자를 빠르게 추격하고 있는 모습이다.
세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시장에서 대만 TSMC의 독주가 강화되는 가운데, 삼성전자는 매출 하락과 점유율 감소를 기록하며 중국 SMIC의 거센 추격까지 받고 있다.
9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 세계 상위 10개 파운드리 업체의 매출은 364억300만달러로 전 분기(384억8천200만달러) 대비 5.4% 줄었다.
계절적 비수기임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관세 종료 전 긴급 주문과 중국 정부의 소비자 보조금 효과가 시장 하락폭을 일부 완화했다.
TSMC는 1분기 매출 255억 달러, 점유율 67.6%를 기록하며 전 분기 대비 0.5%포인트 상승했다. 스마트폰 수요 둔화에도 AI·고성능컴퓨팅(HPC) 수요와 긴급 수주가 실적을 지탱했다.
반면 삼성전자는 같은 기간 점유율이 8.1%에서 7.7%로 0.4%포인트 하락했다. 1위 TSMC와의 점유율 격차는 전 분기 59.0%포인트에서 59.9%포인트로 더 벌어졌다.
삼성전자는 3위 업체인 중국 SMIC와의 격차도 점점 좁혀지고 있다. 삼성전자와의 점유율 격차는 1.7%포인트로 좁혀지며, SMIC의 추격 속도에 힘이 실리고 있다.
SMIC는 미국 관세 대응과 중국 보조금 효과로 조기 재고 확보가 활발히 이뤄지면서 평균판매단가(ASP) 하락을 상쇄했다. 이에 따라 SMIC는 1분기 매출이 22억5000만달러로 전 분기보다 1.8% 증가했으며, 점유율도 0.5%포인트 상승한 6.0%를 기록했다.
이번 실적은 삼성전자가 파운드리 경쟁에서 기술력뿐 아니라 안정적인 고객 수주와 원가 경쟁력 확보라는 과제를 안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AI와 HPC 중심의 고부가가치 시장에서 TSMC가 빠르게 입지를 굳히고 있는 반면, 삼성전자는 여전히 고객 다변화와 수율 안정화에 있어 구조적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더퍼블릭 / 이유정 기자 leelyjwo@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