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홍찬영 기자]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격으로 원·달러 환율이 널뛰면서 국내 부동산 시장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환율이 오르면 수입 자재 가격이 올라 결국 공사비로 상승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여기에 고금리 기조가 유지되는 것도 부담 요소로 꼽힌다.
14일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은 미국 상호관세 발표가 다가오고 탄핵 심판 선고는 늦춰지면서 지난달 말 1470원 안팎까지 올랐고, 지난 9일 상호관세가 본격적으로 발효되자 1484.1원까지 치솟았다. 현재 원·달러는 1400원대 초중반대를 유지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를 넘어서면 고환율 구간으로 인식된다. 고환율은 수출 기업의 가격 경쟁력을 높여주는 긍정적 효과가 있지만, 동시에 수입 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국내 인플레이션 압력을 키울 수 있다는 점에서 양면성을 지닌다.
이에 국내 건설·부동산업계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자재 수입 의존도가 높은 건설업계 특성상, 고환율은 자재비 부담을 직접적으로 키우는 요인으로 꼽힌다.
특히 철근, 봉강 등이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철근과 봉강은 연간 수입 의존도는 15% 수준으로, 규모로는 약 9000억 원에 달한다. 석제품은 31.2%의 수입 의존도를 기록하며 연간 약 5,500억 원어치가 해외에서 들여오고 있다. 특히 합판의 경우 수입 의존도가 39.6%에 달해, 주요 건설 자재 가운데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주요 건자재 다수가 일정 수준 이상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만큼, 환율 상승은 자재 조달 비용을 직접적으로 자극할 수밖에 없다. 원자재 값이 오르게 되면 공사비가 오르게 되고 이는 곧 분양시장의 위축으로도 직결된다.
여기에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는 것도 부담으로 꼽힌다. 건설업은 선투자·후수익 구조로, 금융기관에서 대규모 자금을 빌려 사업을 진행한다. 고금리 기조가 지속되면 금융비용이 대폭 상승해 전체 프로젝트 수익성을 악화시킬 공산이 있다.
미국의 관세정책이 한국 경제에 미칠 충격파와 불확실성을 정확히 가능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한국은행이 금리인하에 나서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고물가 경기를 대응을 위해 기준금리를 인하해야 하지만, 이는 원화 약세에 더 힘을 실어줄 수 있기 때문이다.
건설업은 선투자·후수익 구조로, 금융기관에서 대규모 자금을 빌려 사업을 진행한다. 고금리 기조가 지속되면 금융비용이 대폭 상승해 전체 프로젝트 수익성을 악화시킬 공산이 크다.
특히 에너지·원자재 수입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 특성상, 환율 급등이 기업 원가 부담과 소비자 물가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적지 않다.
이같은 고환율·고금리 기조 속에 건설업계도 사업성이 확실히 보장된 사업지에만 발을 들이는 등 ‘선별 수주’로 대응하고 있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고금리와 고원가 환경이 장기화되는 흐름 속에서, 외형 확대보다는 자산 활용 효율과 현금 흐름을 중심에 둔 선별 수주 기조가 업계 전반으로 자리 잡는 분위기”라며 “재무 건전성과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 지금 같은 시기에 가장 현실적인 선택”이라고 했다.
더퍼블릭 / 홍찬영 기자 chanyeong841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