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홍찬영 기자]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한·미 간의 조선 분야 협력이 연일 거론되는 가운데, 미 해군의 향후 투자 계획이 한국 조선업계에 기회가 될 수 있단 분석이 나왔기 때문이다. 이에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시황이 맑을 것으로 점쳐지고 있지만 변수도 상존하고 있다. 철강업계의 반덤핑 제소로 인한 후판 가격 상승 가능성으로, 선박 가격 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미국 해양 조선업 시장 및 정책 동향을 통해 본 우리 기업 진출 기회’ 보고서를 통해 미 해군의 향후 투자 계획이 한국 조선업계에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이달 초 미 의회에서 발의된 '해군 준비 태세 보장법'에 주목했다. 해당 법안이 통과되면 미국과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한 인도태평양 지역 국가에 있는 조선소는 미국 해군 함정을 건조할 수 있게 된다. 한국 조선업계의 미 함정 및 해안 경비대 선박 수주 기화가 열린다는 것이다.
미 해군은 2054년까지 신규 함정 조달을 위해 연평균 300억달러(약42조원)를 투입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이에 코트라는 “미국은 현재 보유 중인 296척의 함정을 2054년까지 381척으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면서 “목표 달성을 위해선 앞으로 30년간 총 364척의 신규 함정을 더 건조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매년 12척의 새 함정을 지어야 하는 것이 과제”라고 설명했다.
미국은 한때 세계 조선 시장을 주도했었지만, 자국 조선업 보호를 위해 제정한 '존스법' 여파로 오히려 조선업이 급격히 쇠퇴했다. 이제 최신 선박 건조 기술을 보유한 한국 등 동맹국과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코트라는 미 해군의 군함 유지보수(MRO) 및 신규 건조 시장도 한국 조선 업계의 진출 목표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 해군은 전함 유지보수(MRO) 사업에 연간 60억(약 8조8000억원)∼74억달러(약 10조8000억원)를 지출하고 있고 있다. 하지만 관련 기술을 갖춘 동맹국은 한국과 일본 뿐이다.
이에 일본의 미쓰비시중공업은 미군과 함정정비협약(MSRA)을 맺었고, HD현대중공업와 한화오션 등 한국 기업들도 작년 7월 미 해군과 MSRA 협약을 체결해 MRO 시장에서 부상하고 있다.
코트라는 “조선 기업의 미국 진출을 통해 급증하는 현지 선박 수요에 대응할 수 있다"며 "대기업의 진출에 따라 엔진 부품, 탱크, 밸브, 통신장비, 크레인 등 관련 기업들의 동반 진출 수요도 증가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다만 국내 조선업계가 이 기회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어려움도 존재한다. 그중 하나는 후판 가격 상승 이슈다. 후판은 선박 건조에 필수적인 철강 자재로, 매년 상하반기에 걸쳐 철강업계와 가격 협상을 진행한다.
쵠 한국 정부가 중국산 철강 후판에 대해 최대 38% 덤핑 방지 관세를 부과하기로 잠정 결정하면서 조선업계는 후판 협상에 불리한 위치에 놓이게 됐다.
그거 중국산 후판이 저가로 공급된 탓에 철강업계는 후판 가격을 높이는 명분이 없었지만, 이번에 결정된 관세를 부과하면 중국산 후판은 기존 70만원에서 90만원 선으로 오르게 되면서 자사 후판 가격 역시 높게 올릴 명분이 생겼기 때문이다.
후판 가격은 선박 제조원가의 20% 정도를 차지할 수 있어, 후판 가격이 조금만 올라도 수익성이 요동칠 수 있다.
이에 국내 조선업계는 우려를 표하고 있다. 특히 글로벌 조선업 1·2위를 다투는 중국 조선이 매우 저렴한 가격을 선박을 만드는 가운데, 국내 조선읍 원가 상승으로 선박가격이 상승되면 향후 가격 경쟁력에서 밀릴 수 있다는 것이다.
조선업계 한 관계자는 ”이번 관세부과 결정은 슈퍼사이클에 접어든 업계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크다"며 "중국 조선 업체들은 자국산 저렴한 후판 뿐만 아니라 정부의 강력한 지원으로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더퍼블릭 / 홍찬영 기자 chanyeong841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