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처럼 당이 어수선한 가운데에서도 내년 ‘총선’을 앞두고 공천 평가의 바탕이 될 당무 감사의 기준을 새로 마련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권리당원 수를 늘리고 그 영향력도 강화하는 방향이 포함돼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19일 SBS 단독 보도에 따르면 다음주 민주당 당무감사가 시작된다. 이 당무감사 평가 기준에는 지난번과 다르게 ‘당원 배가 활동’과 지역 사무실 운영 여부가 기존과 달라졌다고 단독 보도했다.

SBS 보도에 따르면 먼저 ‘당원 배가 활동’의 경우 정당에서 당원 가입 목표는 여야를 가리지 않고 경쟁하는 부분이지만 이번 민주당 당원 배가 활동 내역에서는 항목의 평가 기준이 구체화됐다고 전했다.
예전에도 당원 관리라는 평가 항목이 있었지만 올해부터는 당비 약정 독려, 입당 원서 접수 현장 캠페인 진행 등 당원 배가 활동을 실질적으로 진행했는지를 평가하는 항목들이 들어가 있는 것으로 보도됐다.


대의원 1표〓일반 당원 60표, “표의 등가성 다르다”
권리당원 수를 늘려 영향력을 확대하겠다는 것으로, 대의원 표와 일반 당원의 표가 실제로 다르다는 점에서 현재 민주당을 강타하고 있는 ‘돈 봉투 사건’과 같은 일을 최소화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이 같은 ‘고민’은 당시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에서 이재명 후보가 당대표가 될 당시에도 있었던 고민이다. 대의원 1표가 일반 당원 60표의 영향력과 맞먹는다는 점에서 전당대회 당시에도 일부 당원들 사이에서 문제제기가 된 바 있다.
이에 이재명 대표의 한 측근은 SBS에 “지금은 대의원이 당 주요 선거에서 너무 큰 영향력을 행사해 관리 필요성이 생기고 그래서 돈 봉투 문제도 나오는 것이라며 권리당원과 대의원 간 표의 등가성을 확보하는 방향을 고민하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이에 대해 일부 비명계에서는 ‘팬덤 정치’를 보다 강화하는 것이 아니냐며 우려의 시선을 보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더퍼블릭 / 김미희 thepublic315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