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종연 기자] 한동훈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맞수 토론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를 비방하는 글 1100여 개를 올린 것과 관련해 사실상 인정하는 수준의 답변을 하면서 비난이 일고 있다. 한 후보는 절대 “아니다”라는 답변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난 25일 열린 국민의힘 대선 후보 맞수 토론에서 홍준표 후보는 “당원 게시판에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 원색 비난하는 글 올라왔다. 한 후보 가족이 했나”라고 물었다.
한 후보는 “아니다”라는 답변 대신, “윤 전 대통령이 성역이라고 생각하는가. 익명 게시판에서 비판하면 안 되나”라고 말했다.
그러자 홍 후보가 “그렇게 빠져나가지 말라”라고 다그치자, 한 후보는 “당원들이 익명으로 보장돼서 쓴 글에 대해 확인할 필요 없다”라고 부인하지 않았다.
홍준표 “내 가족이 아니면 아니라고 하면 된다”라고 했지만, 한 후보는 “마음대로 생각하라”는 답변을 해 논란이 일고 있다.
한 후보와 홍 후보는 모두 검사 출신이다. 사건 관련 조사나 증인신문에서 정확하게 답하지 못하는 부분이 재판 결과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고 있다.

특히, 한 후보가 정확히 대답하지 않는 부분은 자칫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처럼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로 기소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자유대한호국단 오상종 단장은 지난해 두 차례에 걸쳐 서울경찰청에 국민의힘 당원게시판 문제와 관련해 고발을 했다. 지난 달에도 경찰 측에 사건 진행 여부를 확인됐다.
국민의힘 당원게시판 사태는 한 후보가 당 대표로 있던 시절 한 후보와 그 직계 가족, 처가 식구 등의 명의와 동일한 이름으로 윤석열 당시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를 비방하는 내용 1100여 개가 작성됐다가 발각된 사건이다.
국민의힘은 사건이 불거지자, 당원게시판의 작성자 이름 검색 기능을 즉시 없애기도 해 더욱 논란이 됐다.
국민의힘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11월 6일 국민일보 측에 “동명이인”이라고 말했다. 또, 한동훈 당시 대표가 직접 쓴 글은 없었다고도 했다. 공개적인 입장발표 대신 언론을 통한 입장을 낸 것이다.
이 때문에 같은 달 25일 당 최고위원회에서 김민전 당시 최고위원이 “제가 당 게시판에 대해서 문제를 제기했던 이유는 정당은 민주적이고 정당의 의사 형성 과정도 민주적이어야 한다는 뜻에서 계속 말씀드린 것”이라면서 “의혹이 제기되니까 일부 최고위원 등 당직자가 ‘8동훈’이 있다고 언론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어떻게 ‘8동훈’이 있는지 알게 됐는지 정말 궁금하다”라고 꺼내 들었다. 동명이인이 8명이라는 ‘8동훈’ 논란을 꺼내든 것이다.

김 최고위원은 이어 “(8동훈과 관련된) 그 자료를 일부 최고위원은 보는데 왜 우리는 못 보는지,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확인했는지 우리도 같이 공유해야 하는 것 아닌가”라면서 “당에서 ‘한 대표 사퇴’와 같은 글을 쓰는 사람이 있으면 고발한다는 기사가 나왔다. 제게도 사퇴하라는 문자가 많이 와 있는데 같이 고발해달라”라고 저격했다.
한 대표는 마이크를 켠 뒤 김 최고위원을 향해 “발언할 때 사실관계 좀 확인하고 말씀하셨으면 좋겠다. 그런 고발을 준비하는 사람이 없다”라며 당원게시판 ‘8동훈’의 의문에 대한 답 대신 ‘고발’만을 답했다.

비공개 회의로 전환된 이후 한 대표는 기자들 앞에서 “익명 당원 게시판은 당이 익명으로 글을 쓰라고 연 공간이고, 거기에선 당연히 대통령이든 당 대표든 강도 높게 비판할 수 있다”라면서 “(작성자를) 색출하라고 하는 것은 그 자체가 황당한 소리”라고 했다. 그러면서 “어떻게든 당 대표인 저를 흔들어보겠다는 의도 아닌가. 그런 뻔한 의도에 말려들 생각이 없다”라고 했다.
자신과 그 가족이 대통령 비방글을 썼는지 여부에 대한 의혹에 사실여부 대신 ‘색출’이라는 단어를 꺼내 즉답을 피했었다.
한편, 국민의힘 중앙당윤리위원회 측은 지난해 12월 당원게시판과 관련된 사건을 불문에 붙이기로 하면서 덮었던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신의진 당시 윤리위원장은 한 대표 당시에 임명된 인물이다. 또 불문에 붙이는 사안을 두고 징계청원이 올라가지 않은 다른 이들의 게시물도 함께 처리해야 되기 때문이라는 이상한 논리를 폈던 것으로 전해졌다.
더퍼블릭 / 김종연 기자 jynews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