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홍찬영 기자] 부동산 침체에 약 2년간 꽁꽁 얼어붙었던 오피스텔 시장이 올 들어 회복되는 기미를 보이고 있다. 오피스텔은 아파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입지에 가격이 낮아 이를 찾는 수요가 다시 살아나고 것이다. 특히 내년에는 회복세가 본격적으로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됐다.
11일 부동상R114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국 오피스텔 매매거래량은 1만5823건을 기록하며 2023년 하반기부터 증가세를 이어갔다.
오피스텔 시장은 오랫동안 침체돼 있다가 올 들어 회복세를 보인 것이다. 지난 2022년 하반기부터 심화된 집값 하락과 역전세, 전세사기 우려 확산으로 전체 주택유형 중에서도 특히 비아파트 시장이 직격탄을 맞았다.
이러한 여파로 2023년 상반기 전국 오피스텔 매매거래량은 작년 동기 대비 절반 수준(2만6,385건→1만3,757건)으로 급감했다.
그러나 작년 하반기 들어 울 및 수도권 주요 아파트를 중심으로 저가 매수세 및 실수요 중심 매매수요가 확대되며 아파트 값이 다소 올랐고, 수도권 주요 입지에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을 형성하여 아파트 대체재 성격이 강한 오피스텔에 수요가 확대되기 시작했다.
이를 방증하듯 오피스텔 ‘청약경쟁률’도 올랐다. 오피스텔 청약은 청약통장 유무 및 주택소유 여부와 상관없이 접수 가능해 진입 문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이 특징이지만, 2023년 전국 단지별 평균 청약경쟁률은 8대 1 수준에 불과했다.
하지만 1년 뒤 분위기는 전환돼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의 평균 청약경쟁률은 14.12대 1로 상승했다. 물론 부동산 호황기였던 2021년 기록한 63.17대 1보단 현저히 낮지만 바닥은 다진 것으로 보인다.
1~10월 두자릿수 경쟁률을 기록한 단지의 주요 공통점은 초역세권, 직주근접 환경 우수, 대단지 주상복합 오피스텔이었다.
해당 기간 가장 높은 경쟁률(97.20대 1)을 기록한 '판교밸리자이 2단지 오피스텔'은 강남·판교 직주근접 입지에 전용면적 59·84㎡ 구성으로 아파트 대체재로서 높은 관심을 끌었다.
이어 ‘경희궁 유보라 오피스텔(90.82대 1)’은 서울 지하철 3호선 독립문역 초역세권, 광화문·을지로 우수한 통근환경, 이미 수요가 검증된 아파트의 주상복합 오피스텔이라는 장점으로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장선영 부동산R114 리서치팀 책임연구원은 “2025년 오피스텔 시장은 2024년보다 회복세가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한다”면서도 “과거 2019~2021년 부동산 시장 호황기 대비 회복 정도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고 저성장, 양극화 등 선호도에 따른 불확실성 요소들이 남아있는 만큼 확대 해석에는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더퍼블릭 / 홍찬영 기자 chanyeong841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