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https://cdn.thepublic.kr/news/photo/202311/207269_206663_658.jpg)
[더퍼블릭=이유정 기자]쿠팡에 직고용된 배송 기사들이 속해 있는 쿠팡 노조가 민주노총을 탈퇴한다. 조합원의 권익 향상을 위해 존재하는 민노총이 개별 노조원 권익보다 정치적 활동에 치중하고 있다며 탈퇴를 결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8일 노동계에 따르면, 민노총 공공운수노조 산하 공항항만운송본부 쿠팡지부(쿠팡 노조)는 최근 총회를 열어 공항항만운송본부 탈퇴안을 통과시켰다. 이날 총회 참석 조합원 95%가 민노총 탈퇴에 찬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같은날 쿠팡노조는 민노총에 탈퇴하고, 고용노동부 의정부지청에 노조 설립 신고서를 제출했다. 민노총 산하에서 벗어나 별도의 기업별 노조로 독립하기위해서다.
그동안 쿠팡 노조는 민노총이 정치 집회 참여, 쿠팡 불매 운동 불참, 조합비 납부 등을 요구하고, 사측과 어렵게 맺은 단체 협약을 민노총 전략에 맞게 무효로 하려는 것에 불만을 품어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쿠팡 노조는 입장문을 통해 “쿠팡지부는 조합원의 권익 향상을 위해 존재하지만 상급 단체인 공항항만운송본부는 정지척 활동에 더 집중하고 있다”며 “조합원의 권익보다 산별노조의 여러 활동 참여 요구가 잦았고, 조합비 납부를 요구해 쿠팡지부의 이익이 침해당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노조는 정치적 활동이 아닌 조합원을 위한 활동에 집중하는 것을 가장 우선해야 한다”며 “조합을 만들었던 처음의 마음으로 돌아가 새 출발을 하려 한다“고 했다고 한다.
쿠팡 노조는 쿠팡이 직접 고용한 배송기사인 쿠팡친구(옛 쿠팡맨)들이 지난 2018년 7월 만들었고, 현재 130여명이 가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쿠팡에는 쿠팡 노조 외에 개인사업자 신분의 택배 기사들이 가입한 민주노총 택배노조 CLS(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지회, 물류센터지회 등이 있다. 이들은 민노총에서 탈퇴하지 않는다.
한편, 최근 민노총에선 산하 노조들이 탈퇴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포스코 양대 노동조합 중 하나인 포스코지회는 세 번 시도 끝에 올해 6월 민노총 금속노조를 나갔다. 국내 2위 석유화학 기업인 롯데케미칼 대산지회도 같은 달 민노총 산별노조인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조를 탈퇴했다.
이들 노조 또한 탈퇴 이유로 민노총이 개별 노조의 이익보다 민주노총의 이익을 우선시하거나 노조의 의견을 잘 반영하지 않는 것 등을 꼽았다.
더퍼블릭 / 이유정 기자 leelyjwo@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