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는 지금] 횡령 이어 불법 차명계좌 적발까지 바람 잘 날 없는 경남은행…내부통제 정상 작동할까

[업계는 지금] 횡령 이어 불법 차명계좌 적발까지 바람 잘 날 없는 경남은행…내부통제 정상 작동할까

  • 기자명 박소연 기자
  • 입력 2024.01.30 08:54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융당국 은행권 충당금 적립 요구에 실적 고민도

지난해 대규모 횡령 사고가 발생했던 BNK경남은행. 지난 달 새해를 얼마 남기지 않은 시점에 또다시 직원의 불법 차명거래 등으로 금융당국의 제재를 받으면서 내부통제 작동이 마비된 것 아니냐는 업계의 질타가 쏟아졌다.

앞서 경남은행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생(PF) 대출과 관련한 자금을 관리하는 간부가 3천억원이 넘는 회삿돈을 횡령한 사건이 발생한 이후, 그룹 측은 내부통제를 대폭 강화한다는 움직임을 보였지만 이미 신뢰도에 흠집이 난 상황. 올해는 다른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지 여론의 관심이 모인다.

지난해 횡령 사고 이후 예경탁 경남은행장은 내부통제 개선을 위한 강도 높은 보완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뿐만 아니라 경남은행은 사모펀드 불완전판매와 관련해서도 금융당국 제재를 받았다. 190명이 넘는 일반투자자들을 상대로 사모펀드를 200건 넘게 판매하면서 설명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은 사실이 드러난 것이다.

경남은행의 수익성을 두고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지난해 3분기에는 횡령금 손실 규모가 적용되는 등 기대에 못 미치는 실적을 냈다. 최근 금융당국이 대손충당금 적립과 관련해 산정체계를 강화하라는 주문을 하면서 경남은행의 고심은 더욱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업계 일각에선 부동산 PF 관련 충당금 적립 등 대손비용 압력 때문에 모회사인 BNK금융지주의 실적 성장이 둔화할 것이라고 진단한다.

아울러 앞서 일어났던 직원 횡령 등 내부에서 일어나는 사고의 위험성 또한 완전히 배제할 수 없어 더욱 리스크 관리에 힘써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사진제공 = 경남은행 
사진제공 = 경남은행 

 

사모펀드 불완전판매‧직원 불법 차명거래 금융당국 제재

지난달 금융감독원은 사모펀드 불완전판매 및 직원 불법 차명거래 등으로 경남은행에 대해 '기관경고'와 과태료 1억1천만 원의 제재를 내렸다.

불법 차명 거래의 경우, 언론에는 지난해 8월 소식이 전해졌다. 경남은행의 전 지점장 A씨는 주식 매매 거래를 하면서 본인 명의가 아닌 장모 명의의 차명 계좌를 이용해 53일간에 걸쳐 주식 투자를 했으며 매매 내용을 통지하지도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투자판매업 직무를 겸하는 은행 직원은 주식 등을 매매하는 경우 본인 명의로 해야 하며 매매 내용도 분기별로 보고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A씨는 지난 2018년 4월부터 2020년 7월 기간 중 자신의 명의가 아닌 장모의 명의 계좌를 통해 53일 동안 총 193회에 걸쳐 주식 매매 거래를 했다. 매매 총액은 2억1330만원이며 투자원금은 4080만원이다.

또한 A씨는 자신이 근무하던 지점에서 장모 명의의 계좌와 연결된 증권계좌 2건을 무단으로 개설한 것으로 드러났다.

주민등록증 사본을 복사하고 오려 재사용하는 방식으로 장모가 계좌 개설을 의뢰한 것으로 꾸몄고, 고객 서명란에는 자신의 도장을 찍기도 했다. A씨는 해당 거래로 발생한 7차례 분기별 매매 명세 통지 의무도 위반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명계좌 사고가 알려진 후, 경남은행은 앞서 일어났던 직원 횡령 사고에 이어 ‘내부통제에 구멍이 뚫렸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이에 BNK금융은 조직개편을 대대적으로 단행했는데, 금융권에서는 처음으로 전 그룹사에 윤리경영부를 신설했다. 또 지난달 지주 및 은행 직원 정기 인사에서 장기근무 직원을 거의 예외 없이 전보 조처했다.

앞서 경남은행에서 회삿돈 횡령·유용 혐의로 논란을 빚은 간부급 직원 B씨는 15년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업무를 담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10월,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3부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상 횡령 및 사문서 위조 등 혐의로 구속기소 된 경남은행 직원 B씨의 첫 재판을 열었다.

재판에서 B씨는 혐의를 모두 인정헸고, 당시 B씨 측 변호인은 "공소사실을 모두 인정하고, 공소장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 일부 계좌 송금 이력만 검찰 측에 소명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B씨는 2016∼2021년 경남은행이 보관 중이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 시행사 3곳의 대출 원리금 상환자금 총 699억원을 횡령하고, 2019년부터 작년까지 부동산 PF 사업 시행사 2곳이 추가로 대출을 요청한 것처럼 서류를 위조해 688억원 대출받아 횡령한 혐의를 받는다.

B씨는 이 과정에서 시행사 명의의 출금전표를 10여차례 위조하고 횡령한 돈을 가족이나 페이퍼컴퍼니 명의 계좌로 옮긴 것으로 조사됐다.

B씨는 2008년 7∼8월 골프장 조성사업을 위해 저축은행 4곳에서 시행사에 대출하고 BNK경남은행이 관리하던 50억원을 주식투자 등 개인 용도에 사용한 혐의도 받고 있다.

 

사진제공 = 연합뉴스 
사진제공 = 연합뉴스 

 

 

올해 경영전략 핵심은 ‘리밸런싱’

BNK경남은행에서 최근 진행한 경영전략회의에선 ‘리밸런싱’을 주제로, 리스크 관리 등의 내용이 주요 전략으로 다뤄졌다. 재조정을 통해 시스템을 혁신하고 내부통제를 강화하겠다는 의지가 돋보였다.

이달 12일 진행된 경영전략회의에서 예경탁 경남은행장은 “경제 상황이나 금리 추이 등 올해도 녹록지 않을 한 해가 될 것이다. 2024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담대한 도전과 변화를 위한 노력이 꼭 필요하다”면서 “자산, 수익, 마인드의 리밸런싱을 통해 담대한 목표를 향해 도전하자”고 말했다.

또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이라는 MZ세대들이 뽑은 올해의 명언을 예로 들기도 했다.

예 은행장은 “이 말은 실행력과 의지의 중요성을 뜻한다. 실행력과 의지의 중요성이 세대를 관통하는 변치 않는 진리임을 확인할 수 있다. 여러분이 하고자 하는 의지와 디테일이 합쳐지면 반드시 목표 달성이 가능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앞서 예 은행장은 지난해 은행 내부에서 560억 원대 횡령사고가 금감원 공식 발표를 통해 언론에 보도된 후 하루를 훌쩍 넘긴 다음날 오후 늦게 사과에 나서 적지 않은 지적을 받기도 했다.

당시 예 은행장은 사과문을 읽고 난 뒤 취재진의 질의를 받지 않고 곧바로 퇴장했고, 사과문 내용은 전날 경남은행이 은행 명의로 발표한 설명 자료와 유사했다.

예 은행장은 당시 "고객의 신뢰를 조속히 회복하기 위해 비장한 각오와 뼈를 깎는 노력으로 새롭게 거듭날 것"이라며"내부통제 분석팀을 신설하는 등 내부통제 개선을 위한 강도 높은 보완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이후 예 은행장의 이러한 각오가 무색하게 차명계좌 논란이 불거지면서 ‘내부통제’에 대한 비판이 다시금 도마 위에 올랐다.

당시에도 경남은행은 내부통제를 대폭 강화하고 있다는 입장이었다.

 

 신한투자증권 제공 
 신한투자증권 제공 

 

2024 실적 전망 어떨까

횡령 사고 이후 BNK금융지주 전체 실적에 대한 우려도 제기돼왔다. 횡령 사고에서 발생한 비용이 손실로 실적에 반영되면서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BNK금융지주의 지난해 3분기까지 누적 당기순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07억원 감소한 6천570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는 충당금 적립 등으로 대손비용의 압력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업계 일각에선 올해 일회성 요인들이 해소됨에 따라 실적이 다시 회복할 것으로 진단하기도 한다.

최근 SK증권은 BNK금융지주의 지난해 4분기 지배순이익을 전년 대비 2% 감소한 455억원으로 전망하면서도 일회성 요인은 지난해 실적에 반영되고 올해는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고 진단했다.

설용진 SK증권 연구원은 “담보대출 부도 시 손실률(LGD) 조정, 미래 경기 전망 조정 등에 따른 충당금 적립과 최근 태영건설 이슈를 포함해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관련 충당금 적립 등 대손비용 측면의 압력도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SK증권은 작년 BNK금융지주의 연간 신용 비용이 약 0.63% 수준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면서 “경남은행 횡령과 관련한 손실은 이르면 올해부터 약 300억원 수준의 회수가 실적에 반영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런데 최근 금융당국이 충당금 적립을 강조하며 경영유의까지 내린 상황인 만큼, 실적 악화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최근 금감원은 은행들이 대손충당금을 산정하기 위한 기대신용손실 추정 때 부도율(PD)과 부도시 손실률(LGD) 등을 추정해 사용하고 있지만, 이들 지표가 최근 실측치보다 낮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부실 위험 확대 가능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해 대손충당금이 과소 산정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나 은행들이 부동산PF 충당금 적립과 상생금융 비용 증가가 예정된 상황이라, 이같은 비용 집행이 실적에 부담을 주게 될 수 있다.

최근 신한투자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은행업종의 4분기 지배주주순이익이 2조2천억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1% 줄고, 전분기보다 51.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관련해 은경완·박현우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마진 하락세 지속과 각종 비용 집행이 부담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부동산 PF와 부동산담보 대출의 부도시 손실률(LGD) 변경 등에 따른 추가 충당금과 함께 상생금융 관련 비용이, 지방은행의 경우 450억~800억원 내외로 발생한 것으로 추산했다. 일부 은행은 태영건설 관련 비용도 반영한 수치다.

관련해 은·박 연구원은 "당장엔 높은 배당수익률이 (은행주의) 주가 하단을 지켜주고 있으나 배당락 이후에 대한 고민은 깊어진다"며 "은행의 공적 역할을 강조하는 정부 및 금융당국의 스탠스는 단기 실적 변동성을 높이고 있으며 부동산 PF와 같은 이연된 리스크도 마주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더퍼블릭 / 박소연 기자 syeon0213@thepublic.kr

저작권자 © 더퍼블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