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대출 금리 ‘오름세’‥‘영끌’, ‘빚투’ 부담 어쩌나

신용대출 금리 ‘오름세’‥‘영끌’, ‘빚투’ 부담 어쩌나

  • 기자명 김미희
  • 입력 2021.03.02 16:08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이어진 저금리 기조가 ‘빚투’, ‘영끌’의 시발점이 됐다면 올해는 폭탄의 시발점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저금리 기조로 인해 은행 등에서 신용대출을 받았는데, 금리가 오르면서 이에 대한 부담이 커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올해는 인플레이션(물가상승) 기대 등에 전반적으로 시장 금리가 오르고 신용대출 규제를 위한 우대금리 축소까지 겹치면서,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은행의 대출금리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 1%대 금리는 ‘옛날’‥금융채 금리 ↑

2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 4대 시중은행의 25일 기준 신용대출 금리(1등급·1년)는 연 2.59∼3.65%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대 신용대출 금리가 등장했던 지난해 7월 말의 1.99∼3.51%와 비교해 하단이 0.6%포인트나 높아진 것이다.

신용대출 금리뿐 아니라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반등하는 추세다. 4대 은행의 25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금리(코픽스 연동)는 연 2.34∼3.95%다. 역시 작년 7월 말(2.25∼3.95%)보다 최저 금리가 0.09%포인트 올랐다.

이러한 신용대출 금리는 은행채 6개월·1년물 등 금융채 단기물 금리를 지표(기준)로 삼는다. 따라서 6개월 사이 0.6%포인트나 뛴 데는 기본적으로 이들 금융채 금리 상승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국고채 10년물 등 장기 금리가 경기 개선이나 인플레이션 기대 등을 반영해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넘어설 만큼 꽤 올랐는데, 단기물의 경우도 상승 폭이 장기물만큼은 아니지만, 오름세는 분명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신용대출 지표금리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은행채 1년물(AAA·무보증) 금리는 작년 7월 말 0.761%에서 지난 26일 현재 0.856%로 반년 만에 0.095%포인트 높아졌다.

여기에 지난해 10월부터 금융당국이 본격적으로 고신용자에 대한 신용대출 조이기에 나서면서 은행들이 우대금리 등을 크게 깎으면서 이 같은 금리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풀이된다.

▲ 코픽스 지수, 주택담보대출 금리 등 ‘상승’

신용대출 금리는 기준(지표)금리에 거래실적 등을 반영한 우대금리를 빼고 정해지는데, 지난해 말 은행들은 신용대출 규제의 수단으로서 앞다퉈 우대금리를 0.5%포인트 이상 줄였다.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의 경우 주로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를 따르는데, 이러한 코픽스 비용이 상승했느냐 하락했느냐에 따라 나뉜다.

은행권이 2월에 적용한 코픽스(1월 기준)는 신규취급액 기준으로 0.86%로, 작년 7월의 0.81%보다 0.05%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코픽스에 반영되는 수신 금리 종류에는 은행채 등의 금리도 포함돼 이에 대한 반영이 불가피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한국은행에 따르면 1월 주택담보대출 금리(가중평균)는 2.63%로 집계됐는데, 이는 작년 12월(2.59%)보다 0.04%포인트 오른 것이다. 이 상승폭은 2019년 11월(0.09%p) 이후 최대 기록이다.

이에 이 같은 대출 금리 상승이 ‘폭탄’이 되어 돌아올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가령 신용대출로 2억을 빌렸는데 금리가 0.5%포인트 오른다고 가정하면, 연간 100만원의 이자가 늘어나 부담이 커진다는 것이다.

‘빚투’, ‘영끌’ 등 코로나19로 가계대출이 국내 경제의 ‘뇌관’이 되는 만큼 우려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더퍼블릭 / 김미희 free_003@nate.com

저작권자 © 더퍼블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