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추가인상 시기놓고 의견 분분...11월 인상 의견 ‘우세’

기준금리 추가인상 시기놓고 의견 분분...11월 인상 의견 ‘우세’

  • 기자명 이현정
  • 입력 2021.09.01 16:36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사진=연합뉴스)

[더퍼블릭=이현정 기자] 지난달 26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P 인상한 데 이어 연내 추가인상 시기를 두고 업계 내 의견이 분분하다. 이르면 10월부터 내년 1월까지가 추가인상 시기로 점쳐지는 가운데 기준금리가 1%로 올라설 것은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주 정기회의에서 코로나 4차 대유행이 확산 중임에도 기준금리 인상을 결정했다. 이는 4차 대유행에도 전반적인 경기가 더 나빠지지 않았음에 기반을 둔 결정으로 보인다. 한은은 “(코로나에 대한)학습효과가 누적되고 백신접종이 확대된 상황이 영향을 줬다고 본다”고 전했다.

실제 매월 발표되는 소비자 심리지수(CCSI)는 1~3차 대유행 당시 31p까지 하락한 데 비해 4차 대유행 시기인 지난 7~8월에는 2개월 간 7.8p가 하락해 전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기준금리를 0.25%p 인상했지만 지금 금리 수준은 여전히 완화적”이라고 밝혀 추가인상 의지를 시사했다.

이에 따라 채권시장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경제전문가들은 한은의 추가 금리 인상 시기를 이르면 10월에서 내년 1월까지로 전망했다.

이 가운데 JP모건, 노무라증권 등 외국계 증권사를 포함한 대부분에서는 11월 인상 의견이 우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이 총재의 ‘점진적 인상’ 발언에 무게를 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과거의 기준금리 인상 시기를 살펴봤을 때 금통위 정기회의에서 두 번을 연달아 인상한 적은 없다는 것이다.

신영증권 조영구 연구원은 “점진적으로 가겠다는 이주열 총재의 기자간담회나 통화정책방향 결정문 내용에서도 그렇고, 과거 금리 인상기에도 두 번의 금통위에서 연속적으로 올린 적이 거의 없다는 전례로 미뤄볼 때 추가인상 시점은 10월보다는 11월이 더 적절할 것 같다”고 설명했다. 한은 금통위 정기회의는 3월, 6월, 12월을 제외하고 연내 8차례 열리고 있다.

더욱이 올해와 내년 잠재성장률이 낮아진 점은 기준금리 인상에 있어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하이투자증권 김상훈 연구원은 “올해, 내년 잠재성장률은 2.0%대로 상당 폭 하향 조정됐는데 이전 추세로 회복하기 위해서는 코로나 상흔 효과 최소화가 급선무”라면서 11월 추가인상을 전망했다.

다만 금리 인상이 통화정책에 실효성을 가져오기 위해서는 더 강력한 영향력이 필요하다는 측면에서 10월 중 인상을 예상하는 의견도 있었다. 4차 대유행이 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고 백신 접종은 확대되는 상황이므로 연속 2차 추경은 금융 불균형 해소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의미로 풀이된다.

신한금융투자 조종현 연구원은 “올해 통화정책 정상화 시도는 금융 안정에 중점을 두기 때문에 한 차례 인상으로 효과를 확인하기는 어렵다”면서 10월을 추가인상 시점으로 내다봤다.

한편 일각에서는 내년 1월이나 1분기를 추가인상 시점으로 보는 의견도 있다. 이들은 이번 금리 인상으로 인한 정책효과 등을 살피고 코로나의 전개 상황과 금융 안정 등을 복합적으로 살핀 후 추가인상이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KB증권 김상훈 연구원은 “추가인상은 정책효과 등을 살피며 연내보다는 2022년 1분기가 가능성이 좀 더 높은 가운데 현 총재 임기 내 두 차례 인상으로 제로 기준금리 탈피 전망을 유지한다”고 주장했다.

더퍼블릭 / 이현정 thepublic3151@thepublic.kr

저작권자 © 더퍼블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