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콘텐츠 간의 불협화음...문제는 저가 요금 정책

플랫폼-콘텐츠 간의 불협화음...문제는 저가 요금 정책

  • 기자명 임준
  • 입력 2021.09.03 14:08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더퍼블릭 = 임준 기자] 최근 미디어 시장에서 온라인 서비스 비중이 점점 커지는 가운데, 플랫폼과 콘텐츠 사업체 간 갈등이 심해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갈등의 주요 원인은 플랫폼의 저가 요금 정책이 관건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3일 언론 매체에 따르면 2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한국언론학회와 한국미디어정책학회 주최로 열린 '통합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미디어 정책 재설계' 세미나에서 전범수 한양대 신문방송학과 교수가 이 같이 지적했다.

특히 작년부터 코로나19 상황이 장기화 되면서 비대면 언택트가 일상이 되면서 OTT 및 온라인 콘텐츠 산업의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OTT 시장이 활성화 되면서 콘텐츠 이용료 가격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넷플릭스 등의 플랫폼이 지향하는 VOD(주문형비디오)의 포맷이 빠르게 정착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콘텐츠 대가 산정을 둘러싸고 플랫폼과 콘텐츠 사업자 간의 불협화음이 심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콘텐츠 협상 결렬로 '블랙아웃(채널 공급 중단)' 사태까지 벌어지며 시청자 피해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실제 최근 CJ ENM과 플랫폼 업체 간 콘텐츠 대가를 둘러싼 갈등은 치열해지고 있다. 지난 6월에는 결국 모바일 IPTV 서비스 사용료에 대한 CJ ENM과 LG유플러스의 협상이 결렬되면서 'U+모바일tv'에서 제공하는 CJ ENM 채널 10개의 실시간 방송 서비스가 중단됐다.

전범수 교수는 이날 '유료방송 플랫폼 시장 구조 변화와 콘텐츠·채널 대가 산정 방향'이라는 주제로 "현재 콘텐츠 사업자가 플랫폼 사업자에게 의존, 종속하는 구조인데 협상력 강화와 콘텐츠 시장 활성화를 위해 ARPU(가입자당평균수익) 인상 기회가 필요하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플랫폼 규모는 커지지만 광고 시장의 성장 정체로 콘텐츠 사업자가 프로그램 제작비 조달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사용료 배분 근거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전 교수의 주장이다.

실제 미국에서도 플랫폼과 콘텐츠 사업자의 분쟁으로 채널 공급 중단 사태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유료방송 서비스 가입자도 감소해 시장 규모가 축소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있다.

플랫폼과 콘텐츠 사업자의 계약 방식 변화도 주문했다. 현재 고착화 된 '선공급 후계약' 채널 거래에 대해서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했다.

전 교수는 "선공급 후계약 채널 거래로 인해 PP들의 협상력이 감소하고 글로벌 OTT 사업자 거래와 역차별이 일어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현재 협상력을 기준으로 볼 때 콘텐츠 사업자의 안정적 투자와 사업 운영을 위해 '선계약 후공급' 채널 거래 방식을 검토해야 할 때라는 주장이다.

다만, 이후 PP들의 채널 공급 거부나 계약 지연 등의 합리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 교수는 "양질의 콘텐츠와 채널을 서로 제공하는 데 있어 합리적 대가를 지불할 때 플랫폼과 콘텐츠·채널이 함께 성장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플랫폼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콘텐츠를 공급하는 사업자가 많아야 한다. 또한 콘텐츠에 대한 현실적 대가 부분은 창작자의 활성화까지 연결되어 있다는 데 주목을 해야 한다. 다시 말해 합리적인 요금 정책이 더 많은 시장을 만들 수 있다는 점에 양측이 공감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사진제공 연합뉴스]

더퍼블릭 / 임준 기자 uldaga@thepublic.kr 

더퍼블릭 / 임준 uldaga@thepublic.kr

저작권자 © 더퍼블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