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 “백신 접종자 중 돌파감염 0.03% 불과"…미국·영국은 왜 많아?

방역당국 “백신 접종자 중 돌파감염 0.03% 불과"…미국·영국은 왜 많아?

  • 기자명 최얼
  • 입력 2021.08.24 11:00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더퍼블릭 = 최얼 기자] 방역당국이 국내 돌파감염 사례는 전체중에 0.03% 라고 강조하며, 백신접종을 연일 호소하고 있다.

다만 일각에선 여전히 ‘백신불신론’을 제기하고 있다. 미국·이스라엘·영국의 경우 초기백신 도입이 활발했지만 코로나19 재확산 사태가 일어났고, 국내의 백신완료율이 OECD국가 중 최하위라는 점이 그 이유다.

24일 방역당국에 따르면 전일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국내 돌파감염 사례는 전체 예방접종자의 0.03% 수준"이라며 "해외에서 이번 4차 유행을 '미접종자의 팬데믹'이라고 부를만큼 예방접종시 감염과 치명확률은 낮아진다"라고 말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국내 코로나19 예방접종이 시작된 2월26일에서 이달 12일까지 발생한 확진자 가운데 91% 가량이 백신 미 접종자 라고 밝혔다.

백신접종 이후 이상반응 신고율 역시 0.42%로 접종초기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유지 중이다.

손 반장은 "5~7월 국내 테이터만 봐도 백신 접종시 중증환자로 진행되는 것이 85% 정도 예방된다는 분석이 존재한다"라며 "사망의 경우 접종 완료시 97%까지 예방된다는 중간 결과 분석이 있다"라고 설명했다.

보건당국의 이같은 백신효능에 대한 강조는 백신접종률을 높임과 동시에 ‘백신불신론’을 해소시키기 위한 포석으로 해석된다.

다만, 일각에선 돌파감염 사례 0.03%의 신빙성은 다소 떨어진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화이자·모더나 같은 mRNA백신을 주로 접종한 나라들도 돌파감염 사례가 속출했으며, 한국의 백신완료율도 현저히 낮기 때문이다.

미국과 이스라엘은 백신접종률을 통해 코로나 확진자 급감을 경험했고, 이에 ‘노 마스크정책’ 까지 실시한 바 있다.

하지만 델타바이러스의 출몰로 미국의 경우 확진자가 다시 속출 하기 시작했고, 이스라엘도 다시 마스크 착용을 결정하는 결정을 내렸다.

또한 최근 조사에서 대한민국의 백신완료율(인구수 대비 1·2차 포함 백신접종을 완료한 사람의 비율)은 OECD 국가중 최하위인 15%를 나타낸 바 있다.

즉, 선진국에 비해 백신완료율이 떨어지는 한국에서 돌파감염 사례가 극소수라는 데이터를 전적으로 신뢰하긴 힘들다는 것.

이 때문에 ‘백신접종’ 에만 초점을 맞춘 발언들이 과연 얼마나 ‘백신불신론’을 해소할 지는 의문이다.

이에 대해 한 의료업계 연구원은 백신접종과 동시에 중화항체 형성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백신접종 자체에 초점을 맞추기 보단, 진정 바이러스로부터 몸을 지킬수 있는 항체형성을 확인할수 있어야 한다는 것.

해당 연구원은 “백신접종의 목표는 백신접종 자체가 아닌, 항체 형성의 유무다” 라며, “이에 접종 후 항체형성을 확인 할 수 있는 수단이 더욱 중요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분명 백신접종은 사망률을 급감 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백신접종을 권고한다”며 “다만, 중화항체 유무를 신속하고 저렴하게 확인 할 수 있는 중화항체 키트 사용을 추천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앞서 공급 문제로 이달 국내 공급하기로 했던 850만회분 중 절반 이하만 국내에 들여올 위기에 처했던 모더나 백신은 지난 23일 101만7000회분을 시작으로 오는 2주간 총 701만회분량이 국내에 공급될 예정이다.

이는 정부대표단이 지난 13일 미국 모더나 본사를 찾아 항의한 뒤 공급 물량을 확보한데 따른 결과다.

이로써 보건당국은 백신수급에 대해 한시름 덜게된 모양새다.

김기남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접종기획반장은 "(모더나 백신 확보에)당초 접종계획과 접종목표를 보다 안정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고 볼 수 있다"라며 "다만 접종 간격 조정은 종합적 검토가 필요한 만큼 현재 추가물량은 18~49세 접종에 우선적으로 활용하고 다른 접종대상에 대해선 추가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미지제공-연합뉴스)

더퍼블릭 / 최얼 기자 chldjf123@thepublic.kr 

더퍼블릭 / 최얼 chldjf123@thepublic.kr

저작권자 © 더퍼블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