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실트론, 반도체 웨이퍼 공장 증설 나선다…3년간 1조495억원 투자
[더퍼블릭 = 최태우 기자] SK그룹의 반도체 제조기업인 SK실트론이 글로벌 웨이퍼 시장의 선두주자로 올라서기 위해 구미국가산업단지 3공단에 3년간 총 1조495억원을 투자한다.
16일 SK실트론은 안정적인 웨이퍼 공급과 사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본사가 위치한 구미국가산업단지 3공단에 최첨단 반도체 웨이퍼 공장을 증설할 계획을 밝혔다.
전날 SK실트론은 이사회를 열고 300mm웨이퍼 증설 투자를 위한 예산안을 결의했다. 공장 증설 부지 규모는 4만2716㎡(1만2922평)이다.
올해 상반기 기초공사를 시작해 오는 2024년 상반기 제품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SK 측은 “향후 1000여명의 직원들을 채용해 구미 지역 일자리 창출과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투자 결정은 세계 반도체 시장의 웨이퍼 수요 급증과 고객사의 지속적인 공급 요청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일본과 대만 등 세계 5개 업체가 시장의 94%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SK실트론은 10% 안팎의 점유율로 5위를 유지하고 있다.
글로벌 웨이퍼 제조사들은 최소 2026년까지 공급 부족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하고 경쟁적으로 증설 투자를 발표하고 있다. 최근 데이터 센터에 대한 투자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반도체 사용량이 많은 5G와 전기차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반도체 수요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웨이퍼는 반도체 기판을 만들기 위한 핵심 소재로, 반도체 생산을 대규모로 확대할 경우 공급 부족에 시달릴 수 있다.
올해 1월 미국 상무부도 약 150개 반도체 공급망 관련 기업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반도체 부족 현상의 주요 원인으로 웨이퍼의 공급 부족을 꼽았다.
SK실트론 장용호 사장은 “이번 증설은 시장 환경 변화에 대한 예측과 민첩한 대응을 위한 도전적 투자”라며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과 협업을 통한 기술 혁신으로 글로벌 웨이퍼 업계 리더로 도약할 것”이라고 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퍼블릭 / 최태우 기자 therapy4869@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