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커닝에 뒤집힌 시험 방식”…대학가, 비대면 평가 존폐 기로
[더퍼블릭=홍찬영 기자] 대학가가 비대면 시험 운영을 놓고 혼란에 빠졌다. 최근 서울 주요 대학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한 부정행위가 잇따라 적발되면서, 비대면 강의·온라인 시험을 유지할 것인지 두고 학교와 교수진 의견이 정면충돌하고 있다.
26일자 <조선일보> 보도 및 대학·교육계에 따르면 코로나 이후 확대된 온라인 강의가 AI 커닝의 주요 환경으로 지목되면서 기말고사를 앞둔 대학들이 시험 방식을 재조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2019년 2학기 162개에 그쳤던 서울 시내 8개 주요 대학 온라인 강의는 2025년 854개로 6년간 5배 넘게 증가했다.
코로나 기간 ‘비대면 시험’이 표준화되면서 수강생 500~1400명이 참여하는 대형 온라인 강의도 늘었지만, 감독 인력 부족으로 부정행위 통제는 사실상 어려웠다는 지적이다.
실제 연세대에서는 지난달 중간고사에서 50여명이 문제 화면을 가리지 않게 촬영하라는 규정을 어기고 AI를 활용한 부정행위를 시도하다 적발된 것으로 전해졌다. 고려대에서도 1400명이 듣는 비대면 교양 강의에서 학생들이 카카오톡으로 정답을 공유한 사례가 뒤늦게 확인됐다고 한다.
파문이 커지자 고려대는 모든 교수에게 ‘대면 시험 원칙’을 통보하고, 온라인 시험을 진행할 경우 별도 가이드라인을 따르도록 했다.
다만 이러한 결정이 곧바로 논란을 잠재운 것은 아니다. 교육계에서는 온라인 시험을 전면 중단할지, 관리 방식을 손봐 유지할지에 대해 대학 내 의견은 엇갈리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온라인 시험을 오래 운영해온 교수들은, 문제 수를 많이 만들고 난도만 조절해도 AI 부정행위를 충분히 줄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 한 번에 수백~수천 명이 듣는 강의의 경우, 전부 대면 시험으로 바꾸면 시험장과 감독 인력이 부족해 오히려 더 큰 혼란이 생길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교육계 관계자는 “지금 논쟁의 핵심은 비대면 시험을 유지하느냐 폐지하느냐가 아니라 시험 방식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에 있다”며 “AI가 바로 정답을 만들어낼 수 있는 객관식·암기형 평가만 고집하면 부정행위 논란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