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절반이 쓰는데… 정치권 '새벽배송 제동'에 이용자들 "어쩌나"

필수 소비 흐름 흔드는 정책 논의에 이용자 우려 고조 신선식품·물류·온라인 시장까지 연쇄 영향 가능성

2025-11-25     양원모 기자
기사와 관계 없는 자료 사진 [사진=연합뉴스]

[더퍼블릭=양원모 기자] 새벽배송 규제가 논의 단계에서부터 거센 반발을 낳고 있다. 이미 수천만명의 생활 구조를 떠받치는 인프라로 자리 잡은 서비스를 제약할 경우 산업과 소비자 전반에 충격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새벽배송에 대한 의존도는 수치로 바로 확인된다. 업계에 따르면 쿠팡의 로켓배송·로켓프레시·로켓그로스 활성 고객 수는 올해 3·4분기 2470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2250만명 대비 10% 증가했다. 국민 절반 가까이가 아침 장보기·육아 준비·출근 전 필수 구매처럼 '대체 불가능한 시간대 소비'를 새벽배송에 의지하고 있는 셈이다.

이에 현장 이용자들 사이에선 규제 논의가 현실화될 경우 일상부터 붕괴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아침 준비물을 제때 받기 위해 새벽배송이 필수다", "코로나 시기 새벽 배송이 생활의 기본 동선이 됐다"는 등 '없어도 되는 서비스'가 아니라 '반드시 필요한 서비스'라는 인식이 확고히 정립된 것이다.

규제 방안의 핵심인 '심야 공정 제한'은 근무 시간 조정을 뜻한다. 밤 10시부터 새벽 3시까지 이어지는 피킹·패킹 공정은 다음 날 새벽 도착 여부를 결정하는 핵심 축이다. 물류업계에 따르면 이 공정이 1~2시간만 늦어져도 그 여파는 곧바로 전체 배송망으로 번진다. 사실상 한밤의 이 몇 시간이 새벽배송 서비스가 성립하는 '마지노선'이라는 뜻이다.

규제가 현실화할 경우 타격은 신선식품 부문에 집중될 전망이다. 채소·정육·유제품처럼 시간에 민감한 품목은 입고 후 즉시 분류·포장·출고 과정을 거쳐야 상품성이 유지된다. 따라서 새벽배송 체계가 흔들리면 단순 지연을 넘어 '출고 자체가 어려워지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시장 확장 속도, 비중을 고려하면 파장은 더 커질 수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 거래 비중은 2017년 17.3%에서 2023년 31.9%까지 확대됐다. 같은 기간 무점포 소매는 연평균 12.6% 성장했고, 식료품 온라인 점유율은 2017년 7.1%에서 2023년 18.5%로 약 세 배 늘었다. 업계와 통계청은 이 성장을 이끈 요인 가운데 하나로 새벽배송 확산을 꼽아왔다. 

업계 관계자는 "새벽배송 규제 논란은 근로 환경, 소비자 혜택, 온라인 유통 구조라는 세 요소가 충돌하는 문제"라며 "전면적 규제보다는 노사정 협의를 통한 단계적·현실적 해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