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1인 1표’ 당헌 개정 강행… “정청래 연임 위한 졸속 추진” 반발 확산

2025-11-24     김종연 기자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 [연합뉴스]

 

[더퍼블릭=김종연 기자]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가 대의원·당원 모두에게 ‘1인 1표’를 부여하는 당헌·당규 개정을 추진하자 당내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개정에 따라 대의원 제도가 사실상 무력화되면 “강성 지지층 중심 정당으로 재편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런 가운데 정 대표가 이재명 대통령도 같은 뜻이었다고 들고 나와 논란은 더 확산되고 있다.

정 대표는 오는 24일 당무위, 28일 중앙위를 열어 개정안을 처리할 방침이다. 지난 8월 당대표 선거에서 대의원 1표는 권리당원 17.5표에 해당했지만, 이번 개정이 통과되면 이러한 비율은 사라진다. 한 민주당 관계자는 “대의원은 국회의원 조직표인데, 이 표가 없어지니 의원들 불만이 상당하다”고 했다.

비판도 잇따랐다. 이언주·한준호 최고위원은 비공개 지도부 회의에서 “의견 수렴 부족” “즉흥 추진”이라고 지적했다. 강득구 의원은 “졸속 개혁”, 윤종군 의원은 “당세 확장 장애”라고 했다. 친명계 조직인 ‘더민주전국혁신회의’도 “취지는 좋지만 절차적 정당성과 타이밍 문제에 당원들의 불만이 크다”고 밝혔다. 정 대표가 내년 8월 당대표 연임을 염두에 두고 유리한 룰을 만드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나온다.

정 대표는 “당대표 권한을 내려놓는 개혁”이라며 반박했다. 그는 이재명 대통령이 당대표 시절 했던 ‘1인 1표’ 관련 발언을 23일 페이스북에 잇따라 공유하며 자신이 갑작스레 추진하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박수현 수석대변인도 “‘1인 1표 지향’은 아래로부터의 요구였다”고 했다.

그러나 “정 대표 뜻대로 가면 당은 강성 지지층에 잠식될 것”이라는 우려가 계속된다. 정 대표는 주요 정책 결정을 전 당원 투표로 상설화하는 방안도 추진 중인데, 일부 의원은 “당의 미래를 개딸에게 맡기는 꼴”이라고 했다.

민주당은 이미 이재명 대통령의 당대표 시절 국회의장·원내대표 경선에 권리당원 표심 20% 반영을 도입했다. 내년 지방선거 출마로 최고위원 일부가 사퇴할 예정인데, 보궐 선거에서도 권리당원 투표 비중은 50%에 달한다. 정청래 지도부는 내년 지방선거 예비경선(컷오프)에서도 권리당원 표심을 100% 반영한다고 밝혔다. 내년 8월 당대표 선거의 권리당원 투표 비율도 25%에서 35%로 올리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민주당 한 재선 의원은 “개딸이 당을 장악하면 강성파만 살아남는다”고 했다.

지방선거 출마자와 강경파는 개딸 지지층과의 연계를 적극 드러내고 있다. 서울시장 출마를 준비 중인 전현희 최고위원은 23일 “내란 전담 재판부를 반드시 도입해야 한다”고 했고,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에 반발해 검사장 18명을 고발한 강경파 의원들의 행보도 두둔했다. 김병기 원내대표가 “뒷감당은 알아서 하라”고 불편함을 드러냈던 사안이다. 여권 관계자는 “내란 재판부 요구 글이 인터넷 커뮤니티에 도배되고 있다”며 “이러니 강경파가 지도부를 패싱하는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