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도, GM도 ‘탈중국화’ 나섰다”…중국産 부품 전면 배제 나서는 美 완성차, 부품업계
[더퍼블릭=김미희 기자]미국의 완성차업체와 부품업체들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투자 및 일자리 창출 압박으로 인해 공급망에서 중국산(産) 부품을 없애라고 지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2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미국 최대 완성차업체 제너럴모터스(GM)가 수천개에 달하는 공급업체들에 공급망에서 중국산(産) 부품을 없애라고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관계자들에 따르면 GM 경영진은 공급업체들에 원자재와 부품 공급처로 중국의 대안을 찾아야 한다며 궁극적으로는 공급망을 완전히 중국 밖으로 이전하는 걸 목표로 삼아야 한다고 말해왔다. 특히 일부 공급업체에는 중국 의존을 해소할 기한으로 2027년을 설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14일(현지시간)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에 따르면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전기차업체 테슬라가 미국 내에서 생산하는 전기차에 중국산 부품을 쓰지 않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WSJ에 따르면 테슬라는 미국 내 전기차 공장에 부품을 대는 주요 공급업체에 중국산을 완전히 배제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미국에서 중국산 부품을 더는 사용하지 않기로 한 테슬라의 결정은 올해 초 내려졌으며, 테슬라와 공급업체들은 이미 일부 중국산 부품을 다른 지역에서 생산된 부품으로 교체했다고 WSJ 소식통은 전했다.
테슬라는 향후 1∼2년 내 나머지 모든 부품을 중국 외 지역에서 생산된 부품으로 바꾸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테슬라는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중국산 부품을 공급받는 데 어려움을 겪은 이후 중국산 부품 의존도를 줄이려 노력해왔는데, 올해 들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강력한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하면서 중국산 부품 배제 전략을 가속했다고 한다.
테슬라가 대체하기 어려운 중국산 부품 중 하나는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로, 중국의 CATL이 테슬라의 주요 공급업체였다.
WSJ 보도에 따르면 테슬라는 지난해까지 중국산 LFP 배터리를 장착한 차량을 미국에서 판매했으나, 그로 인해 전기차 세액공제 대상에서 제외되고 올해 들어 중국산 수입품에 고율 관세가 부과되면서 미국 내 중국산 LFP 배터리 사용을 중단했다.
대신 테슬라는 미국 내에서 자체 LFP 배터리 생산을 추진 중이다. 테슬라는 네바다주에 건설 중인 이 배터리 생산 시설이 내년 1분기 중 가동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지난달 밝혔다.
바이바브 타네자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 4월 테슬라가 미국 내 자체 LFP 셀 생산과 “중국 외에 기반을 둔 공급업체로부터 추가 공급망을 확보”하는 방안을 함께 추진 중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미 완성차 업계의 이 같은 행보는 미국과 중국 사이의 지정학적 긴장 여파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중국을 대신할 대안처를 찾기까지는 시간이 오래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메리 바라 GM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분기 실적발표 행사에서 “우리는 몇 년째 공급망 회복력을 확보하기 위해 작업해왔다”며 가능하면 차량을 조립하는 국가에서 부품도 조달하려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중국 외 지역으로 공급망을 이전하는 일은 비용이 많이 들고 복잡하다고 로이터는 지적했다. 특히 자동차 조명과 전자제품, 공구, 금형 같은 분야에서는 중국의 지배력이 막대해 대안을 찾기 어렵다고 공급업체들은 토로한다.
미 자동차장비제조협회(MEMA)의 콜린 쇼 회장은 중국 내 원자재와 부품 공급망의 뿌리가 너무 깊어 대체 공급처를 찾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어떤 공급망은 20년, 30년에 걸쳐 구축됐는데 우린 이를 몇 년 만에 되돌리려 하고 있다”며 “(탈중국이) 그렇게 빨리 이뤄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