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한덕수 총리, 계엄 ‘반대 취지’로 말했다”
윤석열 “국무위원이 외관 맞추는 인형이냐”…특검 질문에 반발
[더퍼블릭=오두환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이 19일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내란 관련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한 전 총리가 계엄 선포에 반대 취지의 의견을 냈다”고 증언했다.
윤 전 대통령이 내란 사건 법정에 증인으로 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3부(재판장 이진관)는 이날 한 전 총리의 내란 우두머리 방조 등 혐의 사건 공판을 진행했다. 윤 전 대통령은 증인 선서 후 증언을 거부할 뜻을 밝혔지만, 내란 특별검사팀의 주신문이 시작되자 답변을 이어갔다.
윤 전 대통령은 “총리께서는 제 이야기를 듣고 재고를 요청하신 적이 있다”며 “좀 반대하는 취지로 다시 생각해달라고 이야기했다”고 말했다.
재판부가 “반대라고 명확히 말했느냐”고 묻자 “반대라는 취지”라며 “반대라는 단어를 썼는지는 모르지만 저한테는 반대 취지로 읽혔다”고 했다.
당시 참석했던 다른 국무위원들의 반응에 대해 그는 “각자 부처 입장에서 계엄이 도움이 안 되고 부정적이라는 취지의 이야기를 많이 했다”며 대부분 반대 의견이었다고 회상했다.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조태열 전 외교부 장관 등이 금융시장 파장·우방국 대응 등을 우려하자 윤 전 대통령은 “오래가지 않고 끝날 계엄”이라며 “금융시장은 걱정 말라. 미국이나 일본은 안보실 통해 설명할 테니 걱정하지 말라”고 답했다고 주장했다.
윤 전 대통령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과의 통화 내용도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그는 김 전 장관이 민주당사·언론사·‘여론조사 꽃’ 등에 병력 투입을 검토하자 “민간기관이니까 안 된다”고 했다고 설명하며 “내가 펄쩍 뛰었다. 계엄을 해도 선관위 같은 곳은 계엄법 7, 8조에 따라 계엄군이 갈 수 있지만 민간기관에는 가면 안 된다고 했다”고 말했다.
이어 “내가 가지 말라고 딱 잘랐고 출동하려던 병력은 전원 올스톱한 것으로 안다”고 했다.
재판부가 “출동을 허가한 적은 없느냐”고 묻자 윤 전 대통령은 “당연하다. 저에게 재가를 구한 건데 전 하지 말라고 한 것”이라며 김 전 장관의 독단적 추진을 강조했다.
특검팀이 한 전 총리가 ‘국무위원을 모아야 한다’, ‘요건을 갖춰야 한다’고 말했는지를 묻자 윤 전 대통령은 명확한 답변을 피했다.
또 송미령 전 농식품부 장관에게 ‘빨리 오라’고 한 것이 합법적 외관을 위한 조치였다는 특검 주장을 두고는 “국무위원들이 외관을 갖추려고 온 인형도 아니고, 너무 의사가 반영된 질문 아니냐”고 반발했다.
계엄 당일 한 전 총리에게 “대통령이 참석해야 하는 행사를 당분간 가줘야겠다”고 말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외교 일정과 관련된 일반적 맥락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APEC과 G20 다자회의에서 포퓰리즘 좌파 정권 정상들을 많이 초대해놨더라”며 “그래서 총리에게 가라고 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은 “비상계엄은 긴급 비상대권 행사이기 때문에 절차적 요건은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는 생각이었다”고 말하며 계엄 판단의 배경도 언급했다.
당시 여당 원내대표였던 국민의힘 추경호 의원과의 통화에 대해서는 “거대 야당의 국정 발목잡기 때문에 헌정질서가 마비됐다는 취지로 이야기했다”며 “사전 보안 때문에 미리 이야기 못해 미안하다는 취지의 이야기를 한 걸로 기억한다”고 말했다.
재판부가 “지시한 건 없느냐”고 묻자 “제가 지시하고 그럴 상황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윤 전 대통령은 당초 지난 17일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으나, 재판부가 구인영장 집행 가능성을 경고하자 출석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