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사, ‘AI의 윤리적 광기’를 고발하다… 조광현 ‘AI 광기’ 출간
[더퍼블릭=오두환 기자] 박영사가 인공지능의 급진적 발전이 초래할 사회적 위기와 윤리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룬 신간 ‘AI 광기: 통제 불가능한 미래가 온다’(조광현 지음)를 출간했다.
이 책은 인공지능(AI)이 인간의 능력을 뛰어넘는 전환점에 다다른 지금, 사회가 준비해야 할 과제는 무엇인지 묻는다.
저자 조광현 박사는 “AI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지만 아무런 준비 없이 그 흐름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건 매우 위험하다”며 “AI가 불러올 사회적 변화와 위험을 면밀히 인식하고 대응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AI 광기’는 기술 발전의 이면에 존재하는 윤리적 공백과 통제의 사각지대를 정면으로 조명한다.
AI가 사회 구조, 법, 교육, 노동, 인간 존엄성까지 깊숙이 침투했음에도 불구하고 공론과 성찰이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단순한 기술 예찬을 넘어, 기술에 압도되지 않고 공존하기 위한 사회적 해법을 모색한다.
책은 총 6장으로 구성돼 있다. 1장은 AI 범죄, 자율 무기, 통제 위협 등 현실 사례를 통해 일상의 위험을 드러내고, 2장은 프라이버시 침해, 자율주행 오작동, 의료 AI의 오판 등 기술의 한계를 다룬다.
3장은 미국·EU·중국 등 주요국의 AI 규제 정책을 비교 분석하고, 4장은 한국 정부의 ‘AI 기본법’과 ‘AI 윤리 체크리스트’의 실효성을 평가한다. 이어 5장은 AI 리터러시 교육과 제도 정비의 방향을 제시하며, 마지막 6장은 인간과 AI가 공존하는 미래 사회를 전망한다.
조광현 박사는 이 책을 통해 “AI의 광풍 속에서 인간이 주체로 남기 위한 사회적 안전장치”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기술의 편의성과 속도에 가려진 통제 불능의 위험을 드러내며, 독자들에게 ‘AI 시대의 윤리적 각성’을 촉구한다.